출처: 쿠팡 홈페이지
쿠팡에서 야간 노동을 하던 노동자들이 잇따라 사망했다. 지난 21일, 야간 노동을 하던 30대 노동자가 사망한 것에 이어 26일 야간 노동을 하던 50대 노동자가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에도 쿠팡 새벽 배송을 하던 노동자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일이 있었다.
이에 공공운수노조 전국물류센터지부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성명을 내고 “쿠팡은 고인의 지병과 평균 근무 일수 등을 운운하며 죽음을 고인 탓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쿠팡 사측은 21일 사망한 30대 노동자에 관해 “최근 3개월간 주당 평균 근무일수는 4.3일,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40시간 미만이었다”고 밝힌 데 이어 26일 사망한 50대 노동자에 대해서는 “최근 3개월간 주당 평균 근무일수는 4.8일,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41시간”이라며 책임회피에 급급했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명확한 진상조사도 없이 고인의 탓으로 돌리는 행동은 책임 회피를 위한 빌드업”이라며 “쿠팡은 즉각 사죄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쿠팡 물류센터에서 야간 노동 중 사망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지만, 회사는 단 1분의 추가 휴게시간도 허용하지 않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추가 휴게시간 도입 요구도 쿠팡이 거부해왔다”며 “노동 강도를 조절할 최소한의 장치조차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정부의 책임도 지적했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되는 기업의 산재 사망을 두고 “예상 가능한 죽음을 방어하지 않는 것은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고,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말한 점을 언급하며 “대통령의 말이 허언이 아니라면 노동부는 이번 사망을 철저히 조사해 산업재해로 인정하고 쿠팡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노동부가 형식적 점검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노동조합 참여 아래 쿠팡 물류센터 노동 체계 전체의 위험성을 평가·점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심야 노동 규제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이번 죽음은 야간 노동자의 건강권 보장이 시급하다는 사실을 다시 보여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