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신자유주의적 전환은 생태적 재앙

2022년 몽골의 유목민. (Wikimedia Commons)

몽골은 또 다른 재앙적인 겨울을 보냈다. 4월 말까지 폐사한 가축 수는 710만 마리에 달했는데이는 전체 가축의 10% 이상에 해당한다극심한 추위와 폭설을 의미하는 '주드(dzud)'의 해에는 봄철에 피로와 영양실조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면서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이 수치는 더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주드(dzud)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생태계 균형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왔으며지난 20년 동안 기후 변화와 기타 요인으로 인해 반복적인 문제가 되었을 뿐이다여러 면에서 주드(dzud)는 단순한 혹한과 과도한 적설이 아닌 지속적인 생태학적 문제다.

강수량이 적은 여름 뒤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올해 주드(dzud)에도 해당된다여름 동안 지방 축적을 하지 못한 동물들은 폭설로 인해 방목이 불가능한 겨울을 견뎌내야 했다게다가 사료보다는 이동성에 의존하는 몽골의 전통 목축 방식으로는 다가오는 재앙에 적절히 대비하기가 더욱 어렵다.

올해는 학자, NGO, 정부 관계자들이 작년 여름부터 목축인들에게 주드(dzud)를 예고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예상했다현재 진행 중인 주드(dzud)는 약 1,000만 마리(가축의 23%)가 폐사한 2009~10년 이후 가장 치명적이었다.

많은 보고서에서 올해의 주드(dzud)를 다루면서 기후 대재앙의 문제로 다뤘다기후 변화가 몽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사실적이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더 중요한 이야기즉 1990년대 몽골이 국가사회주의에서 자유시장 자본주의로 전환할 때 시장 경제가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몽골의 신자유주의 재편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몽골 대초원의 목초지 관리는 봉건시대부터 사회주의 시기까지 특정한 형태의 집단 조직을 유지했다이 모델에는 높은 이동성집단 조직특히 사회주의 시대에 대부분의 활동이 고도로 기계화되었을 때 전통적인 목축업을 지원하기 위한 신기술 도입 등의 요소가 포함되었다이 모든 것이 전통적인 축산 형태를 연속하는데 기여했다.

1991-93년의 가축 사유화와 국영 농장 해체는 지지자들에 의해 국가사회주의 시기 이후 정상 상태로의 복귀로 특징지어졌다(그리고 여전히 그렇다). 이는 사실 전통적인 가축사육 형태와의 급진적인 단절이었으며현재의 문제로 이어진 중대한 전환점이었다.

사유화 이전 2,500만 마리에서 2023년 7,000만 마리로 급증한 가축 수의 절대적 증가는 때때로 1990년대 전환기의 성과 중 하나로 선전된다사실 이 증가는 새로운 시장 체제하에서 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된 결과가 아니라몽골의 가공 산업 상실로 인한 가축 두수의 축적과 과잉으로 인한 것이다. 1980년대 절정기에는 몽골 가축의 45%가량이 1년 동안 가공되어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했으며상당 부분이 수출되었다.

문화적 측면에서 사회주의 직후에는 유목민을 "고귀한 야만인"과 기묘하게 유사한 인물로 보는 낭만적 개념이 있었고그 배경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 부흥이 일어나고 있었다현실적으로 그 많은 미래의 방랑 유목민들은 가축과 다른 국가 자원이 사유화되었을 때 생존을 위해 시골로 나가야 했던 집단농장과 국영농장의 전직 직원들이었다.

목축인의 수는 1998년 414,000명으로 정점에 달했는데이는 1989년 135,000명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에릭 라이너트(Erik Reinert)는 이 과정을 "경제의 원시화(primitivization of the economy)"로 묘사하면서전체 농업 경제가 가구 단위로 분해되고 그러한 많은 분해된 가구들이 1차 생산 단위로 변모했다고 했다이는 기계화된 운송과 기반 시설의 결합그리고 협동조합과 관리 노하우를 통해 높은 이동성을 확보했던 사회주의 시기에 이루어졌던 성과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다.

위기에 처한 농촌 사회

교육과 의료 문제를 포함한 다른 많은 인구통계학적사회적 문제들이 뒤따랐다오랜 세월 만에 처음으로 아이들이 학교에서 중퇴하는 문제가 만연해졌고실질적으로 진정한 유목민 노마드 세대를 만들어냈다.

이 엄청나지만 묘하게도 간과된 변화는 도시와 시골 모두에서 오늘날 몽골인들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했다수도 울란바토르에서는 모든 주드(dzud)로 인해 난방과 하수 시스템이 있는 아파트에 비해 대 1의 비율로 몽골식 "게르(ger)" 지구로 난민이 유입되는 결과를 낳았다.

시골에서는 목초지 황폐화와 목축인들을 위한 지속 불가능한 경제가 규범이 되었다가축 수는 증가했지만, 1992년 사유화 이후 빠르게 확립된 불평등과 불안정성의 패턴은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남아있다. 1998년 한 추정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3분의 2가 생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인 150마리 미만의 가축을 보유하고 있었다. 2023년까지 목축 가구의 86%가 200마리 미만의 가축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구들은 주드(dzud)와 같은 충격에 가장 취약하며 울란바토르에서 경제적 난민이 될 가능성이 크다또한 목축인들이 다양한 소비재에 의존하는 데 익숙해지면서 시장이 목축인의 생활 세계에 더 깊숙이 침투해 왔는데이는 오랜 세월에 걸쳐 발생한 막대한 부채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목축인들의 4분의 정도가 은행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주드(dzud) 발생 확률이 매년 높아지면서 몽골 목축인들은 가장 불안정하고 불안한 집단이 되었다이 현실은 "유목민의 땅"에서 그들의 상징적 위신과 표현과 기묘한 모순을 이룬다.

비극적인 신화

1968년 미국 생태학자 개럿 하딘(Garrett Hardin)은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이라는 영향력 있는 글을 썼다하딘은 게임 이론의 우화에 뿌리를 둔공유지를 착취하는 목축인의 형태로 자기 이익에 사로잡힌 비합리적인 이해관계자들을 희화화한 관점을 제시했다이 이야기의 교훈은 공유지가 지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될 것이며인구 과잉과 과도한 방목이 비극으로 끝나는 맬서스적 파멸의 순환(Malthusian doom cycle)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었다.

하딘이 그린 그림에 대해서는 많은 반론이 있어왔는데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의 반론으로하딘이 편리하게 간과한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 관리(community management)" 계획을 상기시켜 준다그러나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개념은 여전히 강력하며긴축과 사유화에 대한 신자유주의 정책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몽골의 목초지 황폐화에 관한 논의는 종종 이 우화의 현지 버전인 "니틴 움친 엠게넬(niitiin umchiin emgenel)"을 인용하는데이는 때로는 "공공 재산의 비극"으로 번역된다몽골에 관한 한 "공유지의 비극개념은 살아 있고 건재하다몽골이 1990년대에 시장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교과서적인 형태의 충격 요법을 채택한 이래로 이 개념은 신자유주의 변증의 한 형태로 항상 존재해 왔다.

이 과정은 오늘날의 과두 정치와 부패한(kleptocratic) 정권을 만들어냈는데국제 언론에서는 종종 "민주주의의 오아시스(oasis of democracy)"로 포장된다지배적인 이념은 부패와 횡령의 실제 사례를 종종 언급하며 모든 형태의 국가 및 공공 소유권을 비난하고시장 합리화를 최상의 결과를 낳는 필수 도구로 제시한다.

몽골 목축인들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현실은 어떤 면에서는 18~19세기 영국의 인클로저 운동의 패턴과 유사한데이는 하딘이 원래 자신의 우화에 영감을 얻은 곳이다가축의 사유화 이후 시장 근본주의자들은 토지도 사유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불완전했다고 주장해 왔다토지 개혁은 몽골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문제 중 하나였는데목초지는 오늘날까지 명목상 공공 소유로 남아 있다.

이 맥락에서 우리는 "공유지의 비극"이 소위 비생산적이고 비이성적인 목축인들을 비난하기 위해 인용되는 것을 본다그들은 유한한 자원을 착취하여 개인적 이익 극대화를 추구함으로써 목초지 황폐화와 주드(dzud) 위기의 "비극"을 초래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그러나 몽골이 광물 자원의 큰 개발로 인해 "마인골리아(Minegolia)"라는 꼬리표를 달고 세계 자본주의에 더 깊이 통합되면서많은 이전의 목초지들이 이미 "인클로저"되었거나 그 방향으로 가고 있다데이비드 스니스(David Sneath)가 "소유권 체제(proprietary regime)"라고 부르는 것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목초지가 아직 공식적으로 사유화되지는 않았지만목축인들이 새로운 침해와 인클로저의 위협으로 인해 토지를 자신들의 것으로 주장해야 한다는 것을 서서히 깨닫게 되면서 사실상 그렇게 기능하고 있다.

유목의 종말?

1999년 스니스와 캐롤라인 험프리는 부랴티야(러시아), 내몽골(중국), 몽골의 세 가지 다른 농촌 경제 경험을 살펴보면서 "유목의 종말"을 보고 있는지 물었다당시 몽골의 목초지 생태계는 독특한 조직적 특성과 제도적 역사를 고려할 때 다른 두 지역보다 더 나은 위치에 있는 것이 분명했다.

그로부터 4분의 1세기가 지난 지금이는 더 이상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사유화 이후 몽골의 가축 구성과 수량이 변화하여 캐시미어를 위해 훨씬 더 많은 염소가 사육되는 반면 목초지는 명목상 공공으로 남겨져 있다현 상황이 몽골의 재편된 목축 경제의 지속 불가능한 본질을 드러내면서이 나라는 또 다른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보수적인 전통주의자들 사이에서는 현재의 목축 배분을 지속하면서 "유목 문명"을 보존하기 위해 목축인들에게 추가 부담을 부과하는 것을 기껏해야 제안하는 협동조합과 집단 해결책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그러나 시장 세력의 침해를 되돌리는 것은 어려울 것이며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인클로저 과정은 현 정부가 승인한 다양한 형태로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는데토지 자원과 관련하여 광업과 (가장 최근에는관광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서식지가 줄어들면서 목축인들은 시장 조건에서 살아남으려면 합리화된 행위자로 행동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몽골에서 마침내 유목의 끝이 다가오고 있는 것일까?

[원문] Mongolia’s Neoliberal Turn Has Been an Ecological Disaster

[출처] https://jacobin.com/2024/05/mongolia-herding-neoliberalism-climate-change

[번역] 참세상 번역팀 (일부 기계번역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덧붙이는 말

만라이 초노스(Manlai Chonos)는 독일에 거주하는 사회과학자입니다.

태그
태그를 한개 입력할 때마다 엔터키를 누르면 새로운 입력창이 나옵니다.

의견 쓰기

댓글 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