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책에 나오지 않는, 황야를 개척한 여성 탐험가들

1905년 여름캐나다의 젊은 과부 미나 허버드(Mina Hubbard)는 북극해의 일부인 언개버 만(Ungava Bay)까지래브라도 북동부를 지도에 기록하는 탐험에 나섰다. 16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간호사로 일했던 그에게는 매우 이례적인 도전이었다.

그의 남편 레오니다스 허버드(Leonidas Hubbard)는 2년 전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 목숨을 잃었다미나(당시 35)는 그의 작업을 완수하려 했다.

600마일에 달하는 탐험 동안 그는 굶주림얼어붙은 강과 급류 같은 물리적 위험에 맞서야 했지만가장 강력한 적은 20세기 초 북미의 남성 중심 야외 전문지 기자들과 편집자들이었다.

남편이 기고했던 유명 잡지 <아우팅>(Outing)은 가장 신랄하게 그를 비판했다편집장 캐스퍼 휘트니(Caspar Whitney)는 사설에서 과부가 황야에 있어서는 안 되며더군다나 그것에 대해 이야기해서도 안 된다고 성토했다.

야생은 백인 여성이 있을 곳이 아니었고특히나 퍼스트 네이션(First Nation, 선주민가이드들과 동행하는 여성이라면 더욱 그랬다당시 미나는 한 신문과의 인터뷰를 마친 직후였다.

 북부 래브라도에서 미나 허버드

다른 신문들은 미나 허버드를 비탄에 빠진 히스테릭한 여성으로 묘사했다그가 그렇게 길고 고된 탐험을 감행한 이유는 오직 감정적 혼란 때문이라는 해석뿐이었다탐험을 시작한 지 300마일을 지나 나스카우피 강의 발원지를 발견했을 무렵, <뉴욕 타임스>는 1면에서 그가 결국 탐험을 포기했다고 보도했다극심한 고난과 결핍에 밀려 물러났다는 것이었다.

<뉴욕 타임스>는 1면에서 그가 결국 탐험을 포기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같은 신문은북부 래브라도를 탐험 중이던 남성 탐험가 딜런 월러스(Dillon Wallace)가 이전에 어느 백인도 가보지 못한 길을 개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실제로 허버드는 포기한 적이 없었고월러스는 그를 따라잡지도 못했다오히려 그는 월러스 팀보다 몇 주 먼저 언개버 만에 도착했다하지만 황야는 여성의 영역이 아니다라는 당시의 지배적 서사에는탐험에 성공한 여성보다 실패한 여성이 더 어울렸다.

나는 내 저서 《전혀 다른 야생 다섯 명의 여성이 남성 중심의 세계에서 자연을 되찾다》에서 야생이란 무엇이며그것이 어떻게 젠더화된 공간이 되었는지를 탐구했다고대 신화 속 오디세우스나 길가메시의 모험에서부터현대의 연구들이 밝혀낸 남극 기지에서조차 여성들이 괴롭힘과 소외를 겪고 있다는 사실에 이르기까지야생은 오랫동안 남성의 영웅적 모험과 거친 탐험의 무대였다.

연구에 따르면, 근대 수렵 사회에서도 여성은 마을이나 캠프 근처에서 농작물을 돌보고 작은 사냥감을 잡는 반면남성들은 며칠씩 사냥을 떠나 큰 사냥감과 사회적 명성을 쫓는다.

전 세계 신화들은 도시 성벽마을 울타리혹은 야영지를 벗어난 여성들을 초자연적인 존재괴물혹은 사회적 죄를 저질러 추방된 인물로 묘사해왔다.

그리스 신화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폴리폰테(Polyphonte)의 이야기는 여성이 전통적인 젠더 역할을 따르지 않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보여준다결혼과 출산을 거부하고 숲에서 사냥을 하고 싶어 했던 젊은 폴리폰테는 신들의 가혹한 벌을 받는다그는 계략에 빠져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존재와 사랑에 빠지고두 마리의 짐승 같은 아이들을 낳는다결국, 폴리폰테와 두 아들은 살점을 뜯어먹는 새로 변해버린다.

이러한 서사는 현대에도 반복된다미나 허버드의 탐험을 향한 언론 보도와 마찬가지로, 1980~90년대 케냐에서 활동한 환경운동가 왕가리 마타이(Wangari Maathai)도 공격과 조롱을 받았다당시 케냐 대통령 다니엘 아랍 모이(Daniel arap Moi)가 개발하려던 숲에 나무를 심고나이로비의 마지막 녹지 중 하나에 초고층 빌딩을 세우려는 계획에 반대했다는 이유였다심지어 마타이에게는 저주까지 걸렸다.

그와 그린 벨트 운동(Green Belt Movement)을 향한 언론의 비난도 거셌다. <데일리 네이션>(Daily Nation)은 마타이를 비판하는 국회의원들의 발언을 반복적으로 보도했다당시 기사 제목 중에는 국회의원들마타이 교수 비난”, “국회의원들마타이 운동 금지 요구” 같은 내용이 있었다그의 ""는 무엇이었을까바로 심각한 사막화와 토양 침식을 막고농촌 여성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3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은 것이었다.

1995영국의 여성 등반가 앨리슨 하그리브스(Alison Hargreaves)가 히말라야에서 사망했을 때도 언론은 그의 업적이 아닌 어머니이자 아내로서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논했다역사적 신문 기록을 조사해본 결과당시 보도들은 하그리브스를 가정을 등진 무책임한 여성으로 몰아갔다.

<선데이 타임스>는 그를 집착에 사로잡힌 어머니라고 불렀고,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는 산봉우리를 향한 여성의 위험한 야망이라는 제목을 내걸었다.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는 높은 도전에 이끌린 아내라고 보도했다독자들의 편지는 더욱 가혹했다하그리브스를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여성으로 몰아세웠다.

특이한 존재로 소비된 여성 탐험가

여성이 자신의 업적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보도를 받았을 경우그것은 대개 특이한 존재로 소비되었거나너무도 비범한 성취를 이루어 여성이라는 점 자체가 보도의 중심이 되는 경우였다.

영국의 곤충학자 에벌린 치즈맨(Evelyn Cheesman)은 수십 년간 갈라파고스에서 뉴기니까지 태평양 섬들을 돌며 곤충을 수집했다그의 연구 덕분에 뉴헤브리디스 지역의 생태계를 구분하는 생물학적 경계선이 치즈맨 라인(Cheesman’s Line)’으로 명명되었다하지만 신문 보도는 그의 과학적 기여보다는 특이한 여성으로서의 면모에 초점을 맞췄다.

1930년대 초치즈맨이 몇 달간 뉴기니를 탐험한 후 영국의 <뉴스 크로니클>은 여성곤충 4만 2천 마리 수집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그가 1957, 40년간의 탐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을 출간했을 때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레이놀즈 뉴스>는 책을 소개하며 거대한 거미줄에 갇힌 여성이라는 자극적인 제목을 내걸었다기사 부제는 단순했다. “손톱 줄로 살아남다”.

영국의 <뉴스 크로니클>은 여성곤충 4만 2천 마리 수집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여성 탐험가와 과학자들이 여전히 야생에서 특이한 존재’ 또는 자리에서 벗어난 존재로 묘사된다는 사실은 실망스럽다이러한 미디어 서사는 사회적 편견을 강화해 여성들의 안전을 위협하고결과적으로 여성들이 야외 활동을 기피하는 문화로 이어진다예를 들어많은 여성들은 야외에서 특히 해가 진 이후에는 외딴 장소를 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미국에서 하이킹을 즐기는 여성(특히 흑인 및 히스패닉 여성)들은 야생동물보다 남성의 공격을 더 두려워한다그러나 이런 인식을 바꾸려는 움직임도 있다고도를 향한 여성(Woman with Altitude), 강인한 여성 팟캐스트(Tough Girl Podcast) 같은 여성 등산·탐험 커뮤니티들은 여성들이 여전히 거칠고 외딴 자연 속에서 새로운 아름다움과 발견을 즐길 수 있도록 장려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출처The female explorers who braved the wilderness but were overlooked by the history books

[번역이꽃맘

 
덧붙이는 말

사라 론스데일(Sarah Lonsdale)는 런던 시티 세인트 조지스 대학 저널리즘학과 수석 강사이다. 참세상은 이 글을 공동 게재한다.

태그

여성 도전 탐험가 미나 허버드 왕가리 마타이 에벌린 치즈맨

의견 쓰기

댓글 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