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한상희의 쇳소리] 고양이를 부탁해

바야흐로 실용의 시대가 되었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되지 않느냐는 덩샤오핑의 발언은 이제 새로운 힘을 받는다. 진보든 개혁이든 이념을 내세우며 변화를 추구하던 한 시대는 스스로 권력에 순치되어 버린 정치세력의 아집 속에서 너무도 쉽사리 자리를 비워 버렸다. 대신 실용을 내세우며 어떻게든 먹고 사는 문제가 우선임을 강권하는 시대가 우리를 기다린다. 이념과 가치를 다투던 정치의 시대는 가고, ‘배부르고 등 따신’ 경제의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쥐 잡는 데 고양이 색깔은 아무 소용없다. 오로지 쥐 잘 잡는 고양이와 그렇지 못한 고양이의 구분만이 중요하다. 절대빈곤의 상태에서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 선택만이 가능한 상태에서 고양이의 색깔은 절대 무의미하다. 황후의 밥이든 걸인의 찬이든 어떻든 주린 배를 달래는 한 움큼의 음식만이 필요할 따름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에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 쥐와 고양이가 주인공이듯 주린 배와 무미한 음식 한 조각만이 서사의 전부를 차지한다. 마치 자본제적 교환이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서 인간을 제거하고 오로지 교환의 대상이 되는 상품만을 남겨 놓듯이, 이 흑묘백묘론은 삶의 방식을 그대로 ‘상품형식’으로 바꾸어 버린다. ‘어떻게 사느냐’라는 지극히 복잡하고도 미묘한 삶의 문제를 그냥 ‘먹고 죽지 않는’ 문제로 단순화시키고 인간을 세계로부터 분리시켜 버린다.


배고픈 소크라테스의 고민은 빵 하나로 해결되지 않는다. 흑묘백묘론이 제공하는 빵으로는 소크라테스의 배를 결코 채우지 못 한다. 그것은 몇몇의 포식자를 위해 수많은 주린 배들을 기만하기 때문이다. 과외 안 해도 저만 열심히 하면 되지 해 봐야 수능 결과는 뻔하고, 명문대 무슨 소용 있나 취직만 잘 하면 되지 해 봐야 서류심사 결과 또한 뻔하다. 그리고 그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민초들은 ‘저만 열심히 하면 되겠지,’ ‘노력하면 되겠지’를 외친다. 어떻게 몸부림쳐도 바꾸지 못하는 이 거대구조의 위력 앞에서 한없이 비굴해지는 자신을 달래는 목소리들이다.


그래서 흑묘백묘론은 잔인하다. 그것은 좌절이요 포기요 굴복이다. 그것은 나의 배를 주리게 만드는 그 어떤 것에 대한 항의를 제거한다. 나의 생을 지탱하던 그 어떤 가치와 희망과 열정을 박탈한다. 심지어 배고픈 소크라테스를 배부른 돼지로 바꾸지도 않는다. 그저 배고픈 소크라테스에게 소크라테스이기를 포기하도록 강요할 따름이다. ‘죽지 않을 만큼 먹을 수 있음’만이 다른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가치로 삼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흑묘백묘론이 포식자의 입에서만 회자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해가 바뀌어 쥐의 해가 되었음에도 쥐 잡는 고양이 이야기로 말문을 여는 것이 참으로 뒤숭숭하다. 하지만 민주화와 산업화를 넘어 선진화를 향해 일도매진하자는 새 정부의 제안은 여전히 싱숭생숭하다. 마치 경제의 선진화가 삶의 질의 선진화를 위한 조건인 양 목적과 수단을 뒤바꾸어 놓는 그 화법 속에서 포식자의 미소가 느껴지는 것이다. 그들이 잃어버린 세월은 10년이라지만 그렇게 잃어버릴 세월조차 주어지지 않았던 우리에게는 앞으로의 5년조차도 어쩌면 쥐 잡는 고양이 타령만 해야 할지 모르겠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한상희 | 건국대 법대 교수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