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리스 행동홈리스 뉴스

[홈리스뉴스 32호] 쪽방, 따뜻한 감옥

[기고]

하루라는 우주
작은 내 체구가 겨우 올라갈 만한 너비 30cm의 철 계단, 뚫린 그 구멍으로 간신히 몸을 들이 밀었다. 그나마도 가방에 끼어 긴장한 어깨가 더욱 빳빳해진다. 다른 방들은 다행히 빈 듯하고, 불이 켜진 옆방 문틀 틈새로 소주병이 너저분히 쌓여 있다. 이 층에 그나마도 화장실은 없다. 다리에 쥐가 날 듯 어렵게 올라온 철 계단, 쪽방을 거쳐 간 이들이 그렇게 일상적으로 미끄러져 다치고 죽었다는 그 계단을, 묘기하듯 허리를 젖혀 간신히 기어 내려가면 공용으로 쓸법한 변기 하나가 빼곡히 들어서 있을 뿐이다. 방문을 드르륵 젖힌다. 키 165m의 작은 여성 두 명이 다리를 겨우 뻗을 만한 크기의 공간. 창문도 없다. 벌써 탁한 공기가 갑갑하다. 20년 전에나 보았을 법한 내 얼굴 크기의 티비가 이 공간의 쓰임새를 말해주는 이 곳, 돈의동 쪽방.
우수수 떨어진다며 날 멘붕에 들게 한 바퀴벌레들은 적어도 내가 잠들 때까진 잠자코 기다렸다. 하룻밤 단돈 8천원. 도대체 이러한 밤이 내게도 그들에게도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새벽 4시 반이 넘어가도록 아래층 어디선가 들려오던 말소리는 전화소리가 아니었다. 외로운 1평에서 새벽별 뜨기 전까지 조아리는 자조 섞인 마지막 자기위로. 그것은 그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였으리라.
사회안전망이라고는 없는 이 사회에서 이러한 나락으로 떨어지는 무수한 이들이 죽어갔을 방. 한 달만 있어도, 아니 일주일만 있어도 미치지 않고, 술을 마시지 않고, 하루라는 우주를 버티는 게 오히려 대단해 보이는 공간, 이 위치 이 곳 이 순간 내 지표.

다큐 ‘사람이 산다’
내가 그저 하룻밤이라는 감성으로 ‘경험’한 1평 남짓한 이 공간은 실제 1,000명이 넘는 이들이 오늘을 살아가는 따뜻한 삶의 터이자 또 홀로 차디찬 죽음을 맞이하며 미래가 불투명한 인생이라는 감옥 자체였다는 것을 다큐 ‘사람이 산다’에서 보여준다. 2015년 4월 30일, 불과 한 두 달 전, 만 하루만에 42가구의 문 앞에 일제히 빨간 줄이 선명히 그어진 퇴거 통보가 내려졌다. 50년 동안 그 자리에 벌집처럼 있던 그 곳에서 단 하루 만에 안전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한 평의 마지막 주거지를 강탈당한 것이다. 3년의 기록 다큐 ‘사람이 산다’는 송윤혁 감독이 제작을 위해 1년이 넘도록 쪽방촌에 실제 거주를 하며 세 가구의 삶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동자동 쪽방촌 토박이 이일수씨는 그 곳에서 승희씨를 만났고 그녀에게 노예처럼 살겠노라는 서약을 한다. 그러나 인간이라면 공평하게 주어지는 사랑이라는 감정이 누군가에게는 사치가 되어 아기를 가져도 축복해주지만은 못할 서러운 현실이 된다. 세 번째 결핵이 재발을 하는 아기 아빠와, 결핵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승희는 출산을 준비하고 가양동 임대주택도 신청을 하지만, 당뇨가 악화된 일수씨는 유리가 태어난 지 100일이 채 되지 않아 시각을 잃었다. 딸 유리를 위해 해주고픈 게 많았지만, 유리가 어찌 크는 지 알 길도 없고, 해줄 수 있는 것도 없다고 담담히 말하는 그의 보이지 않는 눈가에 촉촉한 물기가 번진다. 사랑하는 여자의 노예로 살겠노라고 약속했지만 그가 사랑하는 여자 승희가 오히려 노예처럼 산다고 울먹인다. 돈이 없기에 당뇨가 악화되었고 그는 이제 아기 유리를 위해서도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절망적으로 말한다. 그에게 앞은 보이지 않는다.

1997년 IMF 경제 위기로 직장에서 쫓겨난 김남선씨는 성인이 되어서도 폭력을 행사하는 부모님을 떠나 살아왔으나, 금융거래정보이용동의를 거부하는 냉정한 부모님이 계시다는 이유로 기초생활 수급 대상에서도 탈락된다. 100kg에 오천원 정도, 하루 종일 서울 이 곳 저 곳에서 폐지를 열심히 주워 만원을 번다. 어려운 생활고에 다시 서울로 오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떠난 시골에도 일은 있을 리 없다. 다시 서울로 올라오지만 결국 길거리 노숙 생활을 시작한다. 폐지를 줍는 일상에서도 돈이 모이면 겨울에 생선 장사를 하고픈 꿈이 있다. 차디찬 길거리를 전전한 그에게 쪽방은 지친 하루를 버티게 하는 나만의 공간이다. 그만의 방에서 시체로 죽어 나갈 수만 있다면 그는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김창현씨가 말하는 가난은 이렇다. 몸이 성치 않은 상태에서 가난하기 때문에 마음의 병이 생기고 평생 수급자 생활을 하는 고리가 생기지만, 현재 시스템상 수급자는 일을 할 수 없다. 일을 하면 수급 대상에서 탈락되기 때문이다.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데 수급 대상에서도 탈락되면 더 이상 갈 곳은 없다. 그 끝은 결국 죽을 일 밖에 없다고. 보편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죽음은 극단적으로 느껴지지만, 쪽방에서는 죽음도 극히 일상적이다. 번개탄을 피기도 하지만 간경화로, 폐결핵으로, 대개는 원인 모를 병으로, 그렇게 성하지 못한 몸 하나 편히 뉘지 못하고 두 다리 편히 펴지 못하는 그 곳에서 죽음을 홀로 쓸쓸이 맞이한다. 장례식이 끝나면 방을 채우던 유품이 정리되고, 방 주인의 흔적은 없다. 그리고 그 자리는 그 의식을 의례적으로 반복하게 될 누군가에 의해 다시 채워질 뿐이다. 그렇게 그 자리는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할 때마다 사회의 고름진 눈물을 흘린 이들, 더 이상 갈 곳 없는 누군가의 끝자락, 임종을 지킨 곳이다. 강제 퇴거 명령이 떨어진 9-20번지 서울역 그 뒷골목은 요즘 핫하다는 게스트하우스로 성형이 진행 중이다. 대안 없는 강제 퇴거 명령은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 왔으며, 또 현재 살아가는 이들에게 삶이냐 죽음이냐, 바로 목숨과 직결되는 문제다.

야학 활동을 짧게나마 하면서 느끼는 건 우리가 이들에 대해 가지는 편견은 참 각양각생이라는 것. 내가 가졌던 편견과 그들과의 삶의 보폭을 줄여나가며 내가 사는 오늘이 결코 내 위주의 것만은 아니라는 것. 인간으로서 가지는, 그리고 인간이기에 가지게 되는 — 비록 소모적일지라도 내가 느끼는 ‘화’와 서운함, 모욕감 같은 감정들 — 행동양식들은 결코 누군가에게만 주어지는 한정된 개념은 아니라는 것. 그렇기에 ‘우리’라는 테두리에 취급받지 못하는 ‘종’들에게도 정당한 대우와 권리가 필요하다는 것. 그렇게 오늘도 날은 저물고 쪽방촌에도 이 같은 밤이 기울었을 것이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혜진 / 홈리스야학 교사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