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보공개 검토했다고, 일제고사 타당성 검토한 것?”
14, 15일 양일간 진행되는 일제고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대상 학생 수는 총 201만7573명이다. 지난해까지 학업성취도 평가는 표집방식으로 실시됐으나, 교육과학기술부는 학력격차 해소 등을 위해 올해부터 전국 모든 학생으로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제고사 반대하는 청소년, 학부모와 교육시민단체들은 “일제고사가 학교와 학생의 서열화와 경쟁을 부추긴다”고 주장하고 있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표집조사로 충분하다는 것.
이와 관련해 권영길 민주노동당 국회의원은 “정부는 표집방식의 어떤 문제 때문에 전집방식(일제고사)으로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는 지 아무런 발표도 없었다”면서 “정부는 교육정보공개법 시행령 제정과정에서 정책연구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고 주장하지만, 공개방식을 점검했다고 일제고사에 관한 정책적 검토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논평하기도 했다.
“일주일 만에 또 시험”
교과부의 일제고사 시행에 반대하는 청소년, 학부모, 교육, 시민단체들은 다양한 직접행동에 나섰다.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시민모임’은 지난 8일과 같이 경기도 포천에 위치한 평강식물원으로 학생들과 체험학습을 떠났다. 이 모임은 15일에는 창덕궁에서 체험학습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일제고사에 반대하는 청소년 모임 ‘무한경쟁 일제고사 Say NO'는 14,15일 양일간 등교거부 행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14일 서울시 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학교서열화와 입시경쟁 심화, 교육의 획일화 등의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일제고사를 강행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성적을 위해 '닥치고 맞고 있으라'고 강요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밝혔다.
등교거부 행동에 참여한 한 모(중학교 3학년)양은 “우리 반에서 이 자리에 혼자 참석했지만, 대다수의 친구들이 일제고사에 반대하고 있다”며 “중간고사 끝난 지 일주일 만에 또 치루는 시험”이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등교거부를 하지 않으면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우리의 목소리에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다”며 “누가 우리를 사주했냐고 하지만, 우리를 사주한 것은 일제고사를 강행하는 정부와 공정택 교육감”이라고 말했다. 이날 등교거부를 한 학생들 대다수는 결석 처리될 예정이다.
청소년 모임 ‘Say No'는 각종 퍼포먼스와 함께 14일 저녁에 열리는 ’무한경쟁 일제고사 반대 촛불문화제‘에 참여하며, 15일에는 토론회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보호받아야 하는 학생을 학교로 돌려보내야”
14일 서울시 교육청 앞 좁은 골목은 아침부터 사람들로 뒤엉켜있었다. 청소년들의 기자회견이 시작되기 전 ‘서울지역 사회공공성 연대회의’는 국제중학교와 일제고사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반면, 광화문 앞에서 체험학습을 떠나려는 차량을 막기도 했던,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회원들은 청소년들의 기자회견이 열리는 반대 편에 모여 “어른들의 목적에 의해 순수한 학생들이 희생당하고 있다”며 “어른들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학생들을 지도해 지금이라도 일제고사를 볼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외치고 있었다.
이들은 ‘학생에게 보내는 호소문’을 통해 “동일한 의무교육을 시키는데 학교,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지 부모로서 해결해 주고 싶다”며 “전집평가는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차악함으로써 기초학력을 점검하고 기초학력 성취가 보장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평가”라고 일제고사를 옹호했다.
이어 “학업성취도 결과를 분석해 각 수준별로 보정 학습자료가 제공되어 학교와 교사를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학교로 돌아가자”고 호소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