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9일 각국 중앙은행은 추가 부양책이 필요할지도 모르고, 일정한 경우에는 세계 경기둔화에 대처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재정적자 감축계획을 연기해야한다고 밝혔다.
OECD는 선진 7개국(G7)의 최신 단기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올해 하반기 세계경제 성장 속도는 당초 전망보다 둔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G7의 3분기(7-9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연율 1.4%, 4분기(10-12월)는 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G7 GDP는 각각 3.2%와 2.5%였다.
미국은 3분기에 2% 성장한 후 4분기에는 1.2%로 위축될 것으로 관측됐다. 일본은 3분기 0.5% 성장한 후 4분기에는 0.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 2분기 각각 1.6%와 0.4% 성장했다.
OECD는 앞으로 몇 개월 동안 세계 경제의 확장기조에 대해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보았다.
OECD는 “경기회복의 지연이 일시적인 것인지, 혹은 경기부양책이 완료해서 개인 소비 기조의 둔화가 보여진 것인지 여부는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이 2개의 시나리오는 각각 금융과 재정 측면에서 다른 대응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OECD는 또한 “이러한 둔화가 경제 활동을 압박하는 등 더욱 장기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양적 완화 및 장기적인 정책금리를 제로% 부근에서 동결하는 형태로 추가 금융 도입 방법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 상황이 허락하는 경우 재정재건 계획은 미룰 수 있다”다고 밝혔다.
게다가, 실직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기적인 경기 확대는 개인 소비의 침체에 압박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또한 리세션(경기후퇴)동안 입은 손실이나 주택 가격의 하락 가능성에 대비해 각 가정이 가계를 긴축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고서는 금융시스템이 연약한 경제와 소버린 채권시장의 불투명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뿐만 아니라 OECD는 경기 회복의 둔화가 일시적이라는 낙관적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면, 정부는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통화정책의 출구전략을 2~3달 연기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