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터치] 폐병환자의 성욕에서 조직노동의 탐욕을 생각한다

김창훈(프레임코칭센터 대표)

폐병환자의 성욕은 정당한가? 조직노동의 탐욕을 생각한다

요즘은 폐병을 의식하며 사는 시대는 아닌듯하다. 하지만 7,80년대만 해도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크리스마스실(seal)이라고 폐병환자들을 위한 우표를 팔았다 학교에서는 의무적으로 학생들에게 사기를 강요하기도 했었다.

일제시대나 해방 후의 문학들을 보면 지식인들은 아주 전형적으로 그려진다. 물론 그 전형적 이미지는 당대의 민중들에게 비친 지식인들의 이미지일 것이다 그런데 이 지식인들의 이미지는 또한 묘하게 폐병과 연결되어 있다 폐병에 고통 받는 지식인 그러나 그 고통 속에서도 책을 읽고 문학을 말하는 지식인, 압도적인 정치체제의 엄혹함에 저항다운 저항 한번 해보지 못한 지식인들은 그런 폐병 앓는 지식인으로 자신들의 이미지를 대중에게 남겼다.

그런데 이런 표현 아시는지 모르겠다 “폐병쟁이가 여자 밝히듯이”...
대중에게 비치는 지식인의 또 다른 이미지는 폐병을 앓지만 여자는 탐하는 아니 정확히 말하면 여자의 몸을 탐하는 그런 것이었다. 이렇게 몸은 축나가고 그래서 몸이 원하지도 않는데 계속 미친듯이 여자의 육체를 탐하는 그런 존재...

몸은 이미 안 좋아져 얼굴은 하얘졌지만 여성은 계속 탐한다. 그래서 유곽으로 찻집으로 전전한다. 오늘 밤의 여자를 찾기 위해...

도대체 폐병 걸린 환자는 왜 그렇게 여자를 탐할까? 어렸을 때는 이 원인을 다다이즘등의 현실과 유리된 관념체계에 당시 지식인들이 과도하게 빠져든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했었다.  비록 몸은 아파도 여성을 탐하며 그 행동을 이념이나 관념 속에서 정당화한 건 아닐까? 봉건적 인습인 남녀관계를 거부한다는 고상한 말로 치장한 채..

나이가 좀 들어 세상과 인간에 대한 지식이 좀 더 쌓이자 왜 폐병쟁이가 여자를 더 탐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폐병환자는 몸이 부실하다. 즉 그의 성욕은 몸의 정상적인 신진대사의 과정에서 나온 자연스런 욕구는 아니다 폐병환자의 경우 한의학에서는 신장의 기운이 부족하다고 해석한다. 신장의 기운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이 이상이 생긴 것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또 하나 한의학에서는 심장이나 기타 기관보다도 신장의 원초성을 주장한다. 가장 중요한 기관이라는 것이다.

이 신장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가 심장의 불의 기능을 적절히 캄다운(제어)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심장의 불기운이 과도하게 기능 항진하는 것을 막아준다.

만약에 폐병에 걸리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불의 기운(성욕)을 제어하는 신장기능이 약해지면서 심장의 타오르는 불기운을 훨씬 더 강렬하게 감지하게 된다. 이것을 한의학에서는 腎虛花王(신허화왕)이라고 한다. 신이 허약해 오히려 불기운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 의미다.

즉 폐병환자의 성욕은 몸 전체에서 자연스레 반응하는 욕구가 아니라 몸의 이상을 반증하는 기능 이상일 뿐이다.

폐병환자 개인에게만 보이는 이런 현상이 우리 사회에서는 조직이나 집단전체에서 보이는 경우가 있다. 다들 알다시피 한국의 기형적인 조직노동이 그러하다. 거대기업집단의 단순 생산직노동자가 GDP평균의 4배 이상을 벌어들이는 나라는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다수 나라의 생산직 노동자는 그 나라 GDP의 1배~1.5배에 수렴한다. 이것이 정상적인 국가다. 왜? 생산직의 나사 조이는 일보다 더 단순한 일은 현대사회에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서비스직보다 임금이 더 많은 것은 서비스직에 비해 생산직의 기업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비롯될 뿐이다.

정상적 사회는 그 사회의 구성원의 사회에 대한 기여도에 비례해 자원이 배분되는 사회다. 생산과 자원배분의 먹이사슬 어느 부분에서 특정한 집단이 과욕을 부림으로 그 사슬의 생태계는 파괴되어 버린다면 이제 남은 것은 처절한 각자도생(各自圖生)뿐이다. 정당하지 않은 사회를 살아가는 유일한 생존철학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모습이다.

조직노동의 욕구는 자연스런 몸의 반응일까? 아니면 그들이 또 다른 폐병쟁이가 되었다는 반증일까?


▒ 출처: 김창훈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joekim0089

[필자 관련기사]
▒ 서울공감 학습토론마당 - 스위스의 노동제도

[한국인권뉴스]  

태그

인권뉴스 , 김창훈 , 소셜에세이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인권뉴스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