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록 북에세이] 살신성인(殺神成人) 3/3

최형록(인문학자)


[서평 대상 서적 ]
리처드 도킨스,만들어진 신(이한음 옮김, 김영사, 2007년)
Christopher Hichens, god is not Great
(New York : Twelve, 2007)
Sam Harris, The End OF Faith
(New York : W.W. Norton & Company,2004)



나. NOMA와 종교 세력에 대한 정치적 동맹문제

독립의 관점은 양자 사이에 있는 전제들, 방법들 그리고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들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대화의 관점은 양자의 유사점들에 초점을 맞춘다.  양 관점은 도킨스와 히첸스의 표적(도킨스, 76-112)이며 이 논쟁에서 중대한 것이 NOMA 이다. 3자의 지적 전투성의 동기는 오늘날 정치적 난맥상의 기저에 있는 반 계몽주의적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근본주의에 대한 긴박한 위기의식이다.

도킨스는 “아니오, 나는 무신론자들을 시민으로 봐야할지도 모르겠고 그들을 애국자로 봐야할 지도 모르겠군요. 이것은 신이 다스리는 나라입니다”(도킨스의 책, 70)라고 말한 부시의 아들 부시를 보고 출판대행업자가 6년 전과 판단이 바뀌면서 집필을 하게 되었다고 밝힌다.1) 도킨스는 미국이 종교적 정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을 겁에 질리게 만들었을만한 상황의 희생자가 되어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러나 제퍼슨과 존 아담스는 그랬겠으나(도킨스의 책, 67~69)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은 취임사에서 ‘공화국의 전위, 신’을 언급했으며 헌법 초안의 작성자들은 프랑스의 계몽주의자들과 달리 교회와 정면대결하지 않았다. <<스피노자와 여타 이단자들>>을 쓴 요벨은 그들이 “현대” 합리주의를 내세운 신세계의 기독교적 꿈, “성경에 의거하는 정치(bibliocratie)"의 꿈을 품고 있었다고 평가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2) 아울러 당시 미국인들의 기독교 신앙은 신정정치의 대명사 캘빈의 경향을 띠고 있었다.

여하튼 도킨스의 우려는 과민반응이 아니다. 2005년 미국 전국 과학교사 협회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교사들의 30%가 수업에서 진화론을 가르치지 말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느낀 경험이 있으며 2007년 <뉴스위크>지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성인 1004명 중 무려 48%가 만 년 전에 신이 인간을 창조했다고 믿고 있는 실정이다.3)

상황이 이렇기에 도킨스는 창조론자들이 지방학교들의 위원회를 전복시켜나가는 정치적 행동에 주목해서 <<만들어진 신>>의 집필에 나섰다.

창조론자들과의 관계에 대해서 과학자들은 두 진영으로 나뉜다. 과거 나치에 대한 영국 내 정치적 입장에 빗대어 네빌 체임벌린 파는 ‘유화(宥和)’책으로 근본주의를 적으로 삼고 ‘온건’ 혹은 ‘분별 있는’ 종교 세력에게는 유화책을 쓴다. 윈스턴 처칠파는 진화론을 둘러싼 전투는 보다 큰 전쟁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초자연주의 세력과 이성적 세력 사이의 전쟁이 거대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주교들과 신학자들은 창조론자들과 함께 초자연주의 진영에 속하므로 유화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마이클 루즈는 “과학을 사랑하는 우리는 적의 적은 우리의 친구임을 인식해야 한다. 대체로 진화론자들은 가능한 동맹세력을 모욕하느라고 시간을 보낸다… 무신론자들은 창조론자들에게 반격을 가하는 일보다는 진화론에 동조하는 기독교도들을 짓밟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처칠파를 비판했다.

도킨스는 체임벌린파의 전술이 진화론과 관련된 전투라면 (지적 설계)창조론자들과 통일전선을 이루는 것이 좋으나 우주의 창조와 같은 거대한 문제를 두고는 근본주의자들이 ‘온건’ 종교 세력과 통일전선을 이룰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체임벌린파가 고(故) 스티븐 굴드의 NOMA를 인용하는 경향을 비판하는데 굴드의‘NOMA(Non Overlapping Magisteria : 겹치지 않는 가르침의 영역)란 무엇인가?

스티븐 굴드는 우선 ‘전투적 삼위일체’가 생각하듯이 가톨릭이나 유대교 그리고 대부분의 개신교 집단이 창조론을 성서 직역주의의 입장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은유(metaphor)나 우의(寓意, allegory)로 읽으면서 적절한 이해를 하려고 해석 한다고 본다.4)

이렇기에 앞서 언급한 ‘과정신학’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각자의 전문지식 영역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과학과 종교 사이에 갈등이 없다고 판단한다. 과학의 영역은 세계에 대한 경험적 구성인 한편, 종교의 그것은 윤리적 가치 그리고 삶의 영적 수단의 탐구다. 삶 전체의 지혜를 성취하는 데에는 이 양 영역 모두에 주목해야 한다.

1996. 10. 22. 교황 존 폴 2세는 교황 직속 과학 아카데미에 보내는 “진리는 진리에 모순되지 않는다”라는 문서에서 진화의 증거 그리고 그 이론이 가톨릭 교리와 일치함을 옹호했다. 굴드는 당시 <뉴욕 타임스>(10/25 일자) 등이 이 소식을 대서특필한 것에 당혹스러워 교황의 언명에서 새로운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1950년 회칙(回勅:Encyclical)에서 교황 피우스 12세는5) ‘가톨릭은 신이 피조물에 영혼을 불어 넣었음을 전제로 인간 신체의 진화에 대해서 과학이 어떤 결론을 짓든 믿을 수 있다’고 했다. 굴드는 이 극우적인 교황이 양 영역이 별개임을 인정하고 존중한 것으로 평가한다. 그런 반면, 교황 피우스 12세는 ‘다원발생설’, 인간이 아담과 이브가 아니라 여러 조상으로부터 유래했다는 사상, 즉 진화론을 수용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존 폴 2세의 관점은 새로운 것이다. “… 관찰에 의거하는 과학은 갈수록 더 정확하게 생명의 다양한 발현을 서술하고 측정하면서 그것들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탐구한다. 영혼으로 전이하는 순간은 이런 류의 관찰대상이 될 수 없다.” 그런 한편, “(피우스 12세의) 회칙이 발간된 지 거의 반세기가 된 오늘날 새로운 지식에 따라 진화론의 하나 이상의 가설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제 그것은 증명되었으며 우리는 항상 자연적 사실성(factuality)을 축하하며 신학적 함의를 흥미롭게 논의하기를 기대한다.”6) 굴드가 이에 대해서 솔로몬 왕의 지혜, “목마른 영혼에 시원한 물, 먼 나라에서 오는 좋은 소식이 그렇도다”(Prov 25:25)라는 것을 상기하는 것은 적절하다.

NOMA는 얼핏 생각하듯이‘외교적’ 입장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도덕적이면서 지적인 근거에 입각한 원칙적 입장이다. 굴드의 판단은 이렇다.

이제 더 이상 종교가 과학의 가르침의 권위 아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결론의 성격을 규정할 수 없다면, 과학자들은 세계의 경험적 구성에 관한 어떤 우월한 지식에 입각해서 도덕적 진리에 관한 (종교보다 - 필자) 높은 통찰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없다. 이렇게 다양한 열정으로 가득한 세계에서 상호겸양은 중대한 실제 결과들을 초래한다.

굴드는 개인적으로 가톨릭의 영혼관을 수용할 수는 없으나 그런 개념의 은유적 가치가 도덕적 논의의 기반을 (도덕의 결정적 기준이 아니다)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잠재력 - 인간의 고상함, 배려, 그리고 의식의 진화가 우리에게 부과하는 온갖 윤리적 투쟁과 지적 투쟁에 대해서 매우 가치 있는 것을 -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굴드의 진화론에 대한 입장은 앞서 언급한 해리스의 그것과 동일하다. 요컨대 NOMA의 입장은 사상적으로 기독교와 과학은 같지 않은 한편(不同), 성서 직역주의자들의 망동에 대해서는 이성적 기독교 세력과 정치적으로 동맹(和)할 수 있다 - 和而不同 - 는 것이다.


4. ‘역사법칙’의 노예가 아닌 정치 그리고 ‘투전승불(鬪戰勝佛)의 정치’

1991년 초여름 어느 날 파리에서 나는 어떤 신부와 대화하던 중 ‘초이, 당신이 존경하는 레닌이 매독으로 죽은 걸 아시오?’라는 말을 들었다.7) 그의 동지이기도 했던 멘셰비키 단(Dann)은 ‘레닌은 항시 혁명만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평했는데 그런 소문이 사실일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 영혼의 구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고통의 불가피성이 설교되는 러시아에서 나는 레닌처럼 뿌리 깊고 강력한 증오를 느끼고 있는 사람을 만난 적도 들은 적도 없다… 그에게 특히 위대한 점은 인간의 불행에 대한 … 적대감, 그리고 불행이란 어쩔 수 없는 실존의 한 근본적 부분인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스스로 쓸어 내버려야 할 가증스런 대상이라고 하는 그의 명쾌한 신념이었다.…”8)

고르키가 지적한 레닌의 증오감은 엄밀히 말해서 증오심(haine)이 아니라 불의에 대한 ‘분개(憤慨 : Colere)’다. 증오심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 대해서 원한을 품는 것이며 그 동기에는 자비심이 결코 없는 반면에, 분개는 그 동기가 자비심이며 어떤 불의에 대한 즉각적인 감정의 반응으로서 영적인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9) 이런 점에서 교조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전혀 뜻밖일 수 있는, 레닌의 발언을 이해할 수 있다. “러시아에 성 프란시스코가 10명만 있었더라면 혁명할 필요가 전혀 없었을텐데…”10)

이 세계를 뒤흔들 뿐만 아니라 전일적 자본주의 세계 체제를 전복시키려면 사상의 구상과정에서 볼셰비키 혁명과 중국혁명에서 왜 개개인의 사회화(Individual Socialization)와 함께 특히 사회화의 개인별 차이(Socialized Individuation)라는 두 과정이 부정합을 이루었는지 교훈을 이끌어 내어야 한다.11) ‘사회화의 개인별 차이’ 차원이 바로 레닌이 성 프란시스코를 생각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인데 이 차원은 ‘영성’의 수련을 반드시 거쳐야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두 과정이 정합된다는 것은 집단과 개인이 ‘하나가 아니면서 둘이지도 아닌’ 진정한 소외극복의 과정을 뜻한다.  

탁월한 통찰력을 지닌 작가 최인훈은 ‘손님’사회주의를 20세기 우리 <<공동체적 이성의 등가물>>이었다고 평가하면서 ‘사회주의 북한’에서 당이 역사법칙에 맹목적인 노예가 됨으로써 ‘사회화의 개인별차이’가 실패한 것을 지적한다.

사상이 같으면 꼭 같은 인간인가? 규격이 같은 나사처럼, 사상은 인간의 <규격>을 표시하는 개념인가? 인간의 사회적 출신을 물신화한 북한. 지평선은 보여도 한 치 앞은 보이지 않는 것이 역사다.12)(자아 - 필자) <비판회>에서의 말은 쓰는 사람에게는 자유무애하고 쓰이는 사람에게는 <자아>의 해체를 경험.13)

해리스는 불교의 3독(毒)인 탐냄, 증오심, 무지(痴)에 신앙을 포함해서 ‘악마의 걸작’이라면서 ‘이성, 정직, 사랑’을 천사에 비유한다(그의 책, 226). 그는 2001년 9월 11일의 알카에다의 뉴욕공격에 따른 경악이 집필의 계기가 되었음을 밝히면서(28) 그런 순교적 자살공격의 코란적 근거를 지적한다(32).

그의 입장에서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은 부시의 백악관을 ‘하얀색의 수도원(White Monastery)’라고 비판하는 한편, 이슬람의 코란 직역주의는 기독교와의 대화가 불가하며(29-46) “선진 세계는 어떻게든 이슬람 세계를 구원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이라크 공격은 인도주의적 측면이 있으며 ‘생존을 위해서 유일한 방책이 핵의 선제공격 가능성’을 거론(128-152) 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는 이슬람 내 온건 개혁세력의 역할을 과소평가하는 것 같으며 이슬람 학자 138명이 ‘서로의 신앙을 인정하고 평화세상을 만들자’고 교황, 성공회, 감리교, 침례교, 루터교 등에 서신을 보낸 일을 상상하지 못했다.14)

나아가 교황 존 폴 2세가 1986년 10월 27일 성 프란시스가 살았던 아시시에서 <<세계평화를 위한 기도의 날>>을 세계 종교들의 지도자들과 함께 보낸 선례 역시 상기하지 못하는 것일까?15)  이슬람 사회에 시민 사회적 사상의 자유와 비판이 없다면 ‘자비심’에서 외부로부터 강제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로티의 실용주의에 대한 비판(179-182)과 어떤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든다.

종교(신학)는 ‘날개를 단 무지’(173)이기에 그렇지 않으나 진정한 ‘신비주의’는 객관적이며 합리적이라고 보느니만큼(220-221) 그는 이슬람의 신비주의자 루미를 고려했을까? 루미는 신앙, 인종, 계급, 국적에 따른 차별 없이 피조물 전체에 대한 사랑과 봉사를 강조한다.16) 히첸스는 소련과 중국의 ‘세속적 전체주의’가 인간의 완전무결성이라는 목표를 지향함으로써 - 전체주의적 충동의 근원 - 그 본질이 종교적인 것이 되었다고 중대한 비판을 하고 있다(그의 책, 232).

이런 완전무결성을 성취하려는 과정에서 이성 중심적인 완전무결한 지식이라는 망상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이성의 도구화, 자기합리화였다. 프로이트는 이런 점을 1932년 “세계관의 문제”에서 통찰력 있게 보여준다.

러시아 볼셰비즘(의 관점에서-필자)...  마르크스이론에 대한 어떤 비판적 검토도 금지되었고 그것의 정확성을 의심하는 행위는 예전에 카톨릭 교회가 이단에게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처벌된다. 마르크스의 저작들은 성경과 코란 같은 오래된 책들이 그랬듯이 결코 여러 가지 모순과 모호함으로부터 자유스럽지 않은 듯 함에도 이제 계시의 원천으로서 그런 성스런 책들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17)

혁명적 사유와 행동의 정곡은 어떠한 독단론에도 비판적인 ‘중도’의 관점이다. 이런 ‘중도’의 관점에서 ‘명상’수행을 하는 것인데 명상은 생각을 억지로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우리를 동일시하는 행위를 단절하는 것이다. 달(불교적 현실인‘공(空)’ - 연기적(緣起的) ‘무아’)을 직시하지 않고 그것을 가리키는 손가락(생각, 개념, 언어)에 사로잡히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의 전제가 생각이 떠오르는 조건(集)을 인식하는 것이다(해리스의 책, 217~221).

도킨스가 (그의 책, 444~454) 줄기세포 연구를 옹호하면서 비판하는,‘평화의 가장 큰 파괴자는 낙태’라고 말한 장본인이자 히첸스의 비판(그의 책, 221~223)도 받고 있는 수녀 테레사는 “예수님은 당신을 특별히 사랑하십니다. 그러나 저에게는 침묵과 공허함이 너무 커서 보려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습니다. 당신이 저를 위해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고통 속에서 50년이나 살다가 별세했다.18)

이런 테레사 수녀의 고통은 “신을 찬양하면 할수록 그는 더욱 더 공허감을 느낀다. 공허해지면 공허해질수록 그는 더욱 더 죄의식을 느낀다. 죄의식을 느끼면 느낄수록 그는 더욱 더 신을 찬양하게 된다”고 에리히 프롬이 이미19) 1950년에 통찰한 고통의 악순환 속에 있었던 것 같다.

수녀 테레사의 고통은 “이성은 신앙의 가장 큰 적이다. 그것은 영적인 것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운운한 (도킨스의 책, 290~291) 루터의 맹목성을 추종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사회혁명에서 정치-경제혁명이 필요조건이라면 ‘사유재산이 덧없다는 자발적 깨달음’은 충분조건이다. ‘소유에의 집착’으로부터 해방되려면 ‘일상적인 불교의 영성수련’이 필수불가결하다.  마르크스주의가 귀빈이 아니라 한 식구로서 불교적 영성의 도반(道伴)이 되는 혁명의 길. 이 길이 마르크스가 지적한 인류의 ‘선사시대’를 마감하는 길이 아닐까.(끝)


주(註)

1) R. Dawkins, “R. Dawkins explains his latest book”, www.richarddawkins.net

2) 주11)의 D. Lecourt의 책, pp. 129~131, p. 81.

3)L. Krauss and R. Dawkins, “Should science speak to faith?”, Scientific American (New York : Scientific American, Inc. 2007.7), pp. 70~73.

4) S. J. Gould, “Non Overlapping Magisteria”, www.stephenjaygould.org. magisterium이란 가르칠 수 있는 권위라는 뜻이다.

5) 1939년 2월 교황이 된 유제니오 파첼리는 ‘뛰어난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귀하의 지도력에 맡겨진 독인인들의 영혼의 복지에 헌신하는 자세를 유지할 것임을 확신시켜 드리고 싶습니다.” 나치 전범들은 바티칸의 도움으로 ‘쥐새끼 탈출로’를 통해서 남미로 도주하여 그곳의 독재정권에서 제2의 인생을 구가했다. 히첸스의 책, pp. 239~240.

6) 존 폴 2세는 유명한 해방신학자 레오나르도 보프로부터 가톨릭을 “종교적 보수주의자와 정치적 독재의 아성으로 변모시켰다”고 맹공당했다. 교황은 진보적 신학자들을 요주의인물로 규정했으며 남미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경향을 경고하고 돔 헬더 까마라 대주교와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를 시복(諡福)에서 제외시켰다. “Pourquoi ces foules autour de Jean PaulⅡ?”- Le Monde Diplomatique (Paris, 2005/5), 10면.

7) 귀국 후 어떤 주간지에서 그런 기사를 읽었는데 진실 여부는 좀 더 알아보아야 한다.

8) 임영일, 이강은 옮김, 버틀램 울프, 시인과 혁명가 (한겨레, 1986), p. 207.

9) Dalai-Lama, Au-dela des dogmes (Paris : Albin Michel, 1994), pp. 65~66.

10) Time : Person of the century, A. Einstein (1999.12.31, Vol.154, no.26), p. 118.

11) M. Steinberg, The Fiction of a Thinkable World (New York : Monthly Review Press, 2005), pp. 167~183. 나의 번역판이 조만간 출간될 것이다.

12) 최인훈, 화두(문이재, 2002) 제2권, p. 361, p. 85~86, p.60.

13) 앞의 책, 제1권, p. 41.

14) 경향신문, 2007/10/13, 6면. 그리고 주33.

15) 주33참조. 이슬람 세계에 대한 유사한 강경론은 히첸스 역시 마찬가지다 (280-281). 그가 호전적 제국주의자 월포비츠와 친분이 있음은 이런 판단과 무관치 않다. 이슬람 세계에 대한 과민반응에 관해서 200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도리스 레싱 역시 비판하고 있다. “Nobel Laureate Doris Lessing: 9/11 'wasn't that terrible' compared to IRA attack" , www.guardian. co. uk

16) en.wikipedia.org/wiki/rumi

17) M. Miller, Freud and the Bolsheviks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1998), p. 51.

18) 한겨레, 2007/08/25, 19면.

19) E. Fromm, Psychoanalysis and Religion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1974), p. 51.



본지는 재야 인문학자 최형록 선생의 양해 아래 그의 에세이를 매주 토요일 시리즈로 싣는다. 에세이는 최 선생의 책 『이 야만의 세계에서 어린시절의 꿈나무를 키워나간다』(도서출판 다올 정문사)에서 옮긴 것으로 그의 철학, 역사, 과학, 정치에 관한 세계관을 접할 수 있다. 최 선생은 서울대 인문대학원에서 수학했으며 민중당 국제협력국장, 사민청 지도위원, 진보평론 편집위원을 지낸 바 있다. ‘모든 노동자의 건강할 권리를 위하여’를 영역했다. [한국인권뉴스]   
        

[관련기사 바로가기] 최형록 북에세이 - 살신성인(殺神成人) 1/3   
[관련기사 바로가기] 최형록 북에세이 - 살신성인(殺神成人) 2/3

[한국인권뉴스]

태그

인권뉴스 , 최형록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인권뉴스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