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이사인 이창현 교수가 KBS 수신료 인상은 시기상조이며 먼저 공정성을 회복한 후 국민들의 여론수렴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KBS 이창현 이사는 22일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KBS가) 공영방송의 역할로서는 부정적이다 라고 얘기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先공정성 실천, 後국민여론수렴 그리고 나서 수신료인상이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현 이사는 21일 야당 추천 이사 4명이 성명을 발표한 배경에 대해서 “(KBS가) 청와대, 정부, 여당으로부터 독립되고 삼성, LG와 같은 대기업으로부터도 독립된 그런 국민의 방송일 때 일반 국민들은 수신료를 내는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인데요. 일단 수신료 인상 이전에 프로그램의 공정성을 우선 실천하고 또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이런 취지에 얘기를 어제 했다”며 “수요일로 예정된 이사회에서 강행 처리한다는 얘기는 아니고요. 일단 안건으로 상정했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한 이러한 절차를 밟아서 앞으로 진행했으면 좋겠다는 의견 표명을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이사는 무엇보다 KBS의 공정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신료 인상에 대한 국민적 반발이 있다고 원인을 진단했다. “KBS 공영방송이 지나치게 정부 편만 드는 것이 아니냐 이런 이야기들이고요. 정부 국책사업에 대해서 체계적인 비판을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하며 “공영방송이 국민의 여론을 있는 그대로 반영해야 하는데 어떻게 보면 보수적이고 정부의, 여당의 목소리들은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반면, 비판적 목소리는 반영을 못하고 있다 라는 어떤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창현 이사는 “청와대 수석에 관련된 뉴스 아이템이 9시 뉴스에서 갑자기 빠지기도 하고, 제야의 종소리를 방송하는 12월 31일 프로그램에서 정부를 비판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음향효과로 대체되기도 하고, 시사투나잇이라든지 미디어비평 같은 정부를 비판했던 PD저널리즘 또는 관련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이러한 것들이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이 많다라는 측면에서 사실 프로그램들이 편성에서 폐지됐었던 선례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이사는 “이런 것들 때문에 사람들이 이런 상황에서 무슨 수신료를 올리는 것이냐 그래서 80%에 가까운 국민들이 수신료 인상에 반대하고 있다”며 “많은 전문가들이 KBS의 정치적 독립성과 보도의 공정성이 과거 정부, 노무현 정부에 비해서 오히려 나빠졌다 라고 얘기하는 사람이 76.7%, KBS의 공영성에 대해서 87.7%가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23일 예정되어 있는 KBS 이사회에서 예고한 현행 2500원에서 광고폐지와 6500원으로 인상하는 안과 광고20% 유지하고 4500원으로 인상하는 두 가지 안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둘 중에 하나 선택 해달라,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하는 것은 논의의 출발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이사회에서부터 수신료가 과연 인상이 필요한 것인가 또 얼마나 필요할 것인가, 특히 KBS 광고를 폐지하고 6,500원으로 내겠다고 하는 데, KBS 광고를 왜 폐지하는 지에 대한 국민적 설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정치적 비판에 무감각 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KBS가 “갑자기 뜬금없이 광고료 없애겠다 라는 식의 논의는 사실은 적절하지 않다 ”고 밝혔다.
한편, KBS의 광고폐지가 종편사업자와 관련이 있다고 보냐는 질문에서 “들려오는 얘기들은 있습니다만, 방송에서 얘기할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된다”며 말을 아꼈다.
이창현 이사는 “김인규 현재의 KBS 사장도 이명박 대통령의 선거 과정에서 특보를 했다는 것 때문에 사장 임명과정에서 엄청나게 많은 문제가 있었다”며 “KBS는 사장부터 시작해서 일반 직원모두가 정치적 독립성이 상당히 강조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이사는 현재 KBS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로 △사장 임명절차와 제도적인 개선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제도적, 인적 장치의 개발 △ PD나 기자들이 일상적인 프로그램 제작이나, 기사 제작에 있어서 정치적 통제를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치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