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에너지부 장관이 26일, ‘에너지 공기업 안전관리체계 점검회의’를 했지만, 정작 안전관리에 가장 취약해 죽어가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담기지 않았다. 기후에너지부는 발전 5사와 한전KPS·한전산업개발 등 발전 공공기관의 정책·정원·예산·경쟁체제·민간정비 구조를 관장하는 최종 정책 결정권을 갖고 있는 주무부서로서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구조·하도급 체계·안전관리 체계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에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와 공공운수노조 한전KPS비정규직지회는 회의가 열린 한국전력공사 남서울본부로 찾아가 김성환 기후에너지부 장관을 직접 만나 항의했다. 대책위와 노동자들은 “현장의 안전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당사자가 빠져서는 근본 대책이 나올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책위와 노동자들은 김성환 장관을 직접 만났다. 출처: 공공운수노조
김성환 장관을 만난 김영훈 한전KPS비정규직지회 지회장은 “직접고용을 해야 사고를 멈출 수 있다”며 기후부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그간 대책위와 노동자들은 “김충현 노동자 사망 이후 법원 판결과 고용노동부 근로감독으로 불법파견이 확인됐음에도 직접고용 논의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히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농성을 이어왔다.
박준선 김충현 대책위 조직팀장도 김성환 장관에게 “장관이 정의로운 전환을 말하지만, 현장에서는 내년·후년에 수백 명이 해고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목소리 높였다. 또한 “김용균 노동자 사망 이후 7년이 지났지만 연료·환경설비운전, 경상정비 노동자들은 여전히 정규직 전환조차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성환 장관은 “해고가 늘어난다고 어떻게 장담하느냐. 왜 단정하느냐”고 반박하며 “기후부도 대책을 세우고 있다”는 원론적 입장만을 내놓고 현장을 떠났다.
노동자들은 “구체적 대책도, 직접고용 방향도 없는 답변”이라며 반발했다. 대책위는 “협의체 논의가 지연되는 동안 동해·울산화력 등에서 중대재해가 반복됐다”며 “27일 열리는 8차 전체회의에서는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직접고용에 대한 분명한 결론을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출처: 공공운수노조
한전KPS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대책위는 지난 19일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농성을 하고 있으며, 정부와의 협의체 회의가 열릴 때마다 회의장 앞에서 직접고용 촉구 행동을 벌이고 있다. 대책위는 “정부가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릴 때까지 농성을 지속할 것”이라며 오는 28일 ‘죽음의 발전소를 멈춰라’ 추모문화제와 12월 10일 김용균 노동자 7주기 추모 결의대회를 통해 ‘위험의 외주화 문제’를 알려간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