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수 세종호텔 해고노동자, 복직 요구하며 고공농성 돌입

도로 위 10미터 높이 철제 구조물 올라..."정리해고 철회하라"

또 한 명의 노동자가 고공에 올랐다. 도로 위 10미터 높이의 철제 구조물, 노동자가 운신할 수 있는 공간은 고작 가로 세로 90cm 정도다. 구조물 아래로는 끊임없이 차들이 내달리고 있다. 고진수 세종호텔 해고노동자는 해고자들이 복직될 때까지, 땅을 밟지 않겠다는 각오로 생애 두 번째...

[조쉬 비벤스(Josh Bivens)]

관세: 알고 싶지만 묻기 두려웠던 모든 것

대선 캠페인 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미국이 해외에서 구매한 총 4조 2천억 달러 규모의 상품 및 서비스 전반에 대해 10~60%의 범용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다. 2025년 2월 초,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같은 위협을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듯했다. 멕시코산 모든 상품과 캐나다...

우익 다크 머니와 비트코인

우익 다크 머니 그룹들이 미국 및 주 정부가 수십억 달러를 비트코인 준비금에 투자하도록 로비하고 있으며, 공공 자금과 환경을 동시에 위태롭게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량의 암호화폐를 비축하도록 압박하고 주 정부 차원에서도 동일한 노력을 추진하는 비트코인 옹호 단체는 환경 규제를 해체하려...

[코스모스, 대화]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우주 팽창 구별하기

은하들이 서로 멀어진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현재의 우주 팽창은 뉴턴 역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이해해야 한다. 이 이론에서는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균질하고 등방적인 공간이라면, 우주의 팽창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모두의 이름으로, 윤석열을 파면한다"

세상을 바꾸는 네트워크, 사회적 소수자와 노동자 시민의 이름으로 윤석열 파면 선언해

시민들은 "여성혐오를 일삼고 젠더 갈라치기 정치에 편승한, 장애인을 공격하고 장애인의 권리를 약탈한, 성소수자 존재를 부정하고 차별을 방조한, 이주노동자를 착취하고 통제하는 데 앞장선, 무분별한 규제파괴로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한, 기후정의를 외면하고 생명을 경시한" 윤석열 대통령...

[딘 베이커(Dean Baker)]

잘못된 예측과 불성실함이 경제학자를 무너뜨렸다

벤 캐슬먼(Ben Casselman)이 <뉴욕타임스>에 경제학자들이 정치인들과 대중 모두에게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는 흥미로운 글을 실었다. 그는 경제학자들의 문제를 잘못된 예측과 난해한 언어 때문이라고 설명하지만, 나는 그 문제가 훨씬 더 깊다고 본다. 중요한 분야에서 정직성...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사회를,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평등으로 가는 지하철' 오른 시민들, 안국역서 13차 다이인 행동 펼쳐

이른 아침 지하철 승강장으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장애인도 여성도 성소수자도 이주민도 하청노동자도 어느 누구도, 차별 없이 배제 없이 시민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이들이 서로의 곁을 지켰다. '평등으로 가는 지하철'에 오른 시민들은 "윤석열 퇴진과 ...

[마이클 로버츠(Michael Roberts)]

경제 정책으로서의 무역 관세: 논쟁

페티스의 주장에서 '약한 국내 수요'라는 표현을 제외하면, 그의 논리는 타당하다. 미국 자본은 제조업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투자를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 부문의 수익성이 너무 많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신, 미국 기업들은 금융 자산에 투자하거나 생산시설을 해외로 이전하는 방식을 선택...

2024년 미국에서 1,600만 명 노조 가입

미국에서 노조 조직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2021년 이후 전미노동관계위원회(NLRB)에 제출된 노조 선거 청원 건수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노조에 대한 대중적 지지는 60년 만에 최고 수준에 근접해 있으며, 70%에 달한다. 노조 조직화에 대한 이러한 상승세는 조 바이...

"트럼프2.0 시대 정세 좌담회"

[2025 참세상 주례토론회] 김선철, 윤여협, 차태서, 선지현 (2.19일 오후 6시부터)

2025년 참세상 주례토론회를 시작합니다. 이번에는 여는 자리로 "트럼프2.0시대 정세 좌담회"로 마련했습니다. 트럼프 재집권을 맞아 미국 내외 정세 변화 및 트럼프 경제, 사회 정책 전망에 대해 해당 분야 학자와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고 대응을 고민해 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