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을 지키는 것이 지구를 지키는 것

카카오 생산지 가뭄 심화로 초콜릿 가격 급등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인의 날로 기념하는 날)는 일반적으로 초콜릿과 로맨스를 떠올리게 한다하지만 이 달콤한 기쁨을 만들어내는 식물은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브라질 북동부와 같은 세계 주요 카카오 생산지들은 점점 심화하는 건조화와 싸우고 있다이는 땅이 서서히 그러나 가차 없이 메마르는 과정이다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는 카카오나무 씨앗에서 얻어지며습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하지만 가뭄이 심화하는 지역에서는 카카오 농장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으며이를 재배하는 농민들 역시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 문제는 브라질에 국한되지 않는다전 세계 카카오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그리고 아메리카 대륙과 동남아시아에서도 습도 변화가 카카오 생산에 필요한 미묘한 균형을 위협하고 있다이들 지역은 생태적으로 중요한 곳이자 전 세계에 식량을 공급하는 주요 생산지이며점진적이지만 가차 없는 건조화의 최전선에 서 있다.

콜롬비아의 한 농부가 초콜릿의 주요 원료가 되는 카카오 열매를 들고 있다출처: 2017 CIAT/Neil Palmer

지난 30년 동안 지구 육지 면적의 4분의 이상이 더욱 건조해졌다내가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UNCCD) 을 위해 조정에 참여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현재 건조한 토양이 지구 육지의 41% 를 덮고 있으며지난 30년 동안 약 430만 제곱킬로미터(170만 제곱마일)가 추가로 확장되었다이는 호주의 절반 크기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이러한 점진적인 건조화는 단순한 기후 현상이 아니다이는 장기적인 변화이며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는 과정으로전 세계 생태계농업그리고 생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조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건조화는 종종 기후 현상으로만 간주되지만사실 이는 인간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다이러한 요인에는 온실가스 배출토지 이용 방식토양과 생물다양성과 같은 필수 자원의 황폐화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호 연결된 힘들은 한때 생산적이었던 풍경을 점점 더 건조한 지역으로 변화시키는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그 결과는 생태계와 경제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전 지구적 촉매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는 건조화 증가의 주요 요인이다.

온실가스 배출특히 화석 연료 연소와 삼림 벌채는 지구 평균 기온을 상승시킨다온도 상승은 다시 수분 증발을 더 빠르게 만든다이러한 높은 증발률은 토양과 식물의 습도를 줄이며심지어 강수량이 적절한 지역에서도 물 부족을 악화시킨다.

건조화는 1950년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기 시작했으며지난 세대 동안 급격한 변화를 목격했다.

이 과정은 특히 이미 가뭄에 취약한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진다사헬 지역과 지중해에서는 강수량 감소와 증발량 증가가 결합되어 건조화가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을 형성한다더 건조한 토양은 열을 덜 흡수하여 대기를 더 뜨겁게 만들며이는 다시 건조한 조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건조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증가최근 몇 년간 모든 지역에서 건조한 토지에 거주하는 인구가 증가했다. (기간: 1971~2020각 지역별 증가율은 다르며측정 단위는 지역별로 상이함출처: UNCCD

지속 불가능한 토지 이용숨겨진 가속 요인

건조화는 또한 사람들이 토지를 이용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속 불가능한 농업 관행과도한 방목그리고 삼림 벌채는 토양에서 보호 식생을 제거하여 토양을 침식에 취약하게 만든다산업형 농업 기술은 종종 단기 생산성을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보다 우선시하며건강한 토양에 필수적인 영양소와 유기물을 고갈시킨다.

예를 들어브라질 북동부와 같은 카카오 생산 지역에서는 농업을 위한 삼림 벌채가 지역의 물 순환을 방해하고 토양을 황폐화시킨다식생이 없어지면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표토층이 고정되지 못하고 빗물에 씻겨 내려가거나 바람에 날려가면서 중요한 영양소가 함께 유실된다.

이러한 변화는 악순환을 초래한다황폐화된 토양은 수분을 덜 저장하게 되며이는 더 많은 물이 지표면을 따라 흘러나가도록 만들고그 결과 토양이 회복될 수 있는 능력을 더욱 감소시킨다.

건조화는 많은 작물의 재배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여기 보이는 차드의 넓은 지역은 건조한 토지로 이루어져 있다출처유엔 차드

토양과 생물다양성의 연결

토양은 기후 회복력에 대한 논의에서 종종 간과되지만건조화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한 토양은 저장고처럼 작용하여 식물이 의존하는 물과 영양소를 저장한다또한지표면 위아래의 생물다양성을 지원한다한 스푼의 토양에는 수십억 개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으며이들은 영양소 순환을 돕고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토양이 건조화와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황폐화됨에 따라 이러한 생물다양성도 감소한다영양소 순환과 식물 건강에 필수적인 미생물 군집이 줄어든다토양이 압축되고 유기물을 잃으면땅이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더욱 건조해질 위험이 커진다.

결과적으로토양 건강의 손실은 생태계농업 생산성 및 식량 안보에 연쇄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가오는 식량 안보 위기

카카오는 건조화 확산으로 피해를 입는 작물 중 하나일 뿐이다.

다른 주요 농업지대세계의 곡창지대 또한 위험에 처해 있다지중해 지역아프리카 사헬 지역그리고 미국 서부 일부 지역에서는 건조화가 이미 농업과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

2100년까지 최대 50억 명이 건조한 지역에 거주하게 될 수 있으며이는 현재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한다이러한 변화는 인구 증가뿐만 아니라지구 온난화로 인해 건조 지역이 확장되는 결과로 발생한다이러한 변화는 식량 시스템에 막대한 압박을 가할 수 있으며생산성 저하물 부족악화되는 생활 조건으로 인해 사람들이 더 나은 기회를 찾아 이주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한 지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건조도를 보여준다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인간 활동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이 1850년과 1981~2010년 기간 사이 네 가지 유형의 건조 지역 전체 면적을 1.2% 더 증가 시킨 것으로 추정되며이는 태양 및 화산 활동만을 고려한 시뮬레이션보다 높은 수치다출처: UNCCD

건조화의 연쇄적인 영향은 농업을 훨씬 넘어선다이미 삼림 벌채와 오염으로 과부하가 걸린 생태계는 수자원 감소로 인해 더욱 압박을 받는다야생 동물은 이동하거나 죽음을 맞이하며습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 종들은 생존할 수 없게 된다예를 들어사헬 지역의 섬세한 초원은 빠르게 사막에서 자라는 관목으로 대체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건조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엄청나다아프리카에서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국내총생산이 12% 감소했다모래폭풍과 먼지폭풍산불물 부족은 정부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며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 빈곤과 보건 위기를 더욱 악화시킨다.

앞으로 나아갈 길

건조화는 필연적인 것이 아니며그 영향이 완전히 되돌릴 수 없는 것도 아니다그러나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각국은 황폐화된 토지를 복구하고생태계를 보호하며토양 건강을 개선하고지속 가능한 농업 방식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다.

지역사회는 빗물 저장 및 고급 관개 시스템을 활용해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정부는 재생 가능 에너지에 투자함으로써 기후 변화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들을 줄일 수 있다.

기업과 협력하는 국제적 협력을 지속한다면이러한 해결책을 보다 효과적이고 전 세계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이번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맛볼 때그 뒤에 존재하는 취약한 생태계를 떠올려야 한다.

2025년 초카카오 가격은 역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했으며그 원인 중 하나는 아프리카의 가뭄이었다건조화를 막기 위한 긴급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이러한 상황은 더욱 일반화될 것이며카카오—그리고 그로부터 만들어지는 달콤한 제품—는 희귀한 사치품이 될 가능성이 크다.

건조화에 맞선 집단적 대응은 단순히 초콜릿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지구가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는 것이다.

[출처Aridez crescente nas regiões produtoras de cacau está levando preço do chocolate às alturas em todo o mundo

[번역이꽃맘

 
덧붙이는 말

나르시사 프리코페(Narcisa Pricope)는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지리학 및 토지 시스템 과학 교수이며, 연구 부총장보이다. 참세상은 이 글을 공동 게재한다.

태그

지구 발렌타인데이 가뭄 카카오 기후위기 초코렛 건조화

의견 쓰기

댓글 0
최신기사
‘복무’이지만 ‘노동’이기도 합니다
서아프리카의 여성 간 결혼: 사라져가는 ..
아르헨티나: 무정부 자본주의에서 긴축으로
금융 시장, 정치의 무대가 될 것인가
참세상 인터링크 위클리 (2025.04...

이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