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출범 30주년에 거는 기대

1995년 11월 11일 민주노총이 출범했다출범 당시 민주노총은 노동조합법상 복수노조 금지 조항에 따라 법외노조 상태였음에도 생산직과 사무직민간과 공공부문을 망라해 861개 노조조합원 418,154명을 포괄했다.

1995년 11월 12일 전국노동자대회. 출처: 이정용

노동자대투쟁 이어 민주노조 총집결을 향한 여정

한국의 민주노조운동은 1987년 노동자대투쟁을 거치며 어용노조 민주화신규노조 건설한국노총 탈퇴 등을 통해 확대와 발전을 거듭했다그렇게 권력과 자본에 기생한 한국노총이 주도해 오던 이전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운동을 형성했다.

노동자들은 개별 단위노조로는 정권과 자본의 탄압을 극복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마산·창원지역을 필두로 지역노조협의회(지노협)를 결성하는 등 조직적 대응을 시작했다마침내 1990년 1월 22일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를 결성했다전노협은 전국 14개 지노협과 2개 업종협 소속 총 602개 노조, 20여만 조합원을 포괄했다사무전문직 민주노조들도 전노협 출범과 KBS 파업을 계기로 연대의 수준을 한 단계 진전시켜 1991년 5월 전국업종노동조합회의(업종회의)를 결성했다. 13개 업종연맹·협의회 소속 690개 노조 173,000명을 포괄한 업종회의 역시 민주노조의 전국조직건설 주체로 나섰다.

한국의 ILO 가입에 즈음하여 전노협과 업종회의는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전국노운협), 전국노동단체연합(전국노련)과 공동으로 1991년 10월 ‘ILO 기본조약 비준과 노동법 개정을 위한 전국노동자 공동대책위원회(ILO공대위)’를 구성했다. ILO공대위는 국제적 수준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공동 실천과 조직적 단결을 모색했다노동법 개정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대응뿐만 아니라 총액임금제와 노·경총 임금 합의에 반대하며 민주노조 총단결 투쟁을 확대 강화해 나갔다.

재벌그룹 대기업노조들도 현대그룹노동조합총연합(현총련)과 대우그룹노동조합협의회(대노협)를 결성해 전국조직 건설의 주체로 참가했다. 1992년 10월 ILO공대위는 ‘1992년 전국노동자대회 조직위원회를 구성현총련과 대노협까지 포괄해 전국노동자대회를 치렀다이러한 단결의 성과를 계승해 1993년 6월 1일 전노협업종회의현총련대노협 등 민주노조 진영이 결집한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전노대)를 결성했다.

전국조직 건설 완료하며 대중운동의 시대로

전노대는 노·경총 임금합의 반대 투쟁한국노총 탈퇴 투쟁노동법 개정 투쟁 등 전국적 공동투쟁을 전개했다민주노조 진영의 공동투쟁 성과는 곧바로 민주노조 총단결의 구심체인 전국 중앙조직 건설 논의로 이어졌다. 1994년 여름 단위노조 대표자 수련대회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해 9월에 민주노총건설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1994년 11월 13일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건설 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민주노총 준비위원회는 1994년 12월 여러 차례의 대표자회의를 거쳐 1995년 상반기에 임금인상 투쟁과 사회개혁 투쟁을 결합해 전개했다상반기 투쟁이 마무리된 7월부터 민주노총의 강령․규약 초안을 작성하고 단위노조 대표자 수련대회에서 본격적으로 토론을 시작, 10월 대표자회의에서 강령․규약()을 확정했다.

1995년 11월 11일 대의원 366명 중 326명이 참석한 창립대의원대회(연세대)에서 7대 강령과 20대 기본과제규약을 의결하고 초대 임원을 선출했다다음 날 전국노동자대회(여의도)에서 자주적·민주적 노동조합의 전국 중앙조직으로서 민주노총이 건설됐음을 대중적으로 선포했다전국노동자대회에 참가한 노동자·학생·시민 3만여 명은 1,200만 노동자와 함께 역사적인 민주노총 출범을 열렬히 환호했다.

이렇게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전노협업종회의재벌그룹별 노조연대체로 나뉘어 있던 민주노조들이 하나가 되어 드디어 내셔널센터를 건설했다광주민중항쟁 이후 시작한 한국노동운동의 조직적 과제인 민주적·자주적인 노동조합의 전국조직 건설이 완성된 것이었다이로써 한국 노동운동은 대중운동의 시대로 비약하게 됐다.

120만 조합원과 함께 전진할 방향

민주노총의 선언·강령·기본과제는 광주민중항쟁 이후 자본과 정권그리고 어용노총에 맞선 치열한 투쟁 과정에서 한국노동운동이 발전시켜 온 자주·민주·통일 이념을 계승했다그러나 한편으로 민주노총 출범은 변혁을 향해 걸어온 한국노동운동의 대장정에서 변곡점이기도 했다.

민주노총 출범 전까지 전노협으로 대표되는 한국노동운동은 노동해방과 평등사회를 기치로 전진해 왔다전노협은 노동자의 처지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평등사회를 지향했다이에 비해 민주노총은 노동자의 정치경제사회적 지위 향상으로 인간의 존엄과 평등이 보장되는 민주사회를 지향했다.

민주노총은 출범과 함께 두 가지 운동 방향을 세웠는데바로 사회개혁운동과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운동이다. 1996년 2월 13일 정기대의원대회에서 노사관계 민주화와 사회개혁을 위한 제안을 특별 결의로 채택했다노동운동의 지향은 사회변혁에서 사회개혁으로 대체됐다또 같은 회의에서 민주노총은 사업방침을 결정하면서 전체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노총으로 자리 잡아야 함을 강조했다. ‘계급적 노동운동과 대립하는 기조였다.

민주노총 출범 당시 이런 기조 변화에 우려가 제기됐다민주노총의 이념과 운동노선에서 변혁성이 약화된 것은 1990년대 이후 변혁적인 노동자정당건설 운동 실패시민운동의 확대전노협 약화 등으로 나타난 전체 변혁운동노선의 후퇴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실제 지난 30년을 지나오며 주요 고비마다 우려는 현실화했다노사정위원회 정리해고 합의를 시작으로 사회적합의주의의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했다국가기간산업 사유화 저지 총파업을 철회하는 등 반자본 투쟁 전선은 약화됐다비정규투쟁에 대한 정규직의 배반과 기업별 이익에 안주한 무늬만 산별노조’ 건설로 계급적 단결은 더 취약해졌다야권연대에 안주해 독자적 정치세력화는 실종될 위기에 처했다민주노총이 출범할 때 우려됐던 것보다 훨씬 더 우경화해온 지난 30년이었다.

그렇게 30년이 지났다민주노총 홈페이지에는 민주노총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와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다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조직현황에 따르면 2025년 현재(2023년 6월 30일 기준조합원 수는 120만 명이라고 한다출범해서 조합원 수가 3배 가까이 늘어나는 30년 동안 민주노총은 어떤 가치를 추구해 왔는가. 30주년민주노총이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을 다시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덧붙이는 말

이황미는 오랜 노동운동의 길 위에 있는 활동가로서 현재는 '노동자역사 한내'에서 기획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이 칼럼은 노동자역사 한내와 참세상이 공동 게재한다.

태그

노동조합 복수노조 노동자대투쟁 민주노총 30주년

의견 쓰기

댓글 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