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인다방] LP속의 친구들

나는 아직도 얼마간의 LP(long playing record)를 갖고 있다. 덕분에 우리 집을 방문 하는 사람들로부터 “이걸 왜 여직 쌓아두고 있느냐”는 소리를 종종 듣는다. 불과 몇 년 사이지만 그나마 행인들이 알아줄까 허름한 박스 안에 담겨 있는 모습으로라도 LP 보기가 쉽지 않으니 내 방 한 구석에 꽂혀있는 이 음반들이 사람들 눈에 꼭 띄는 모양이다. 그리고 하나같이 ‘이걸 왜 여직 쌓아두고 있느냐’며 그들을 재활용 신문더미를 보듯 하는 것 또한 비슷하고 말이다.


사실은 이렇다. 대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주머니 사정이 변변찮았던 나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에 음악을 녹음해서 들었다. 라디오를 듣다가 원하는 음악이 나오면 얼른 녹음 버튼을 누르거나 친구들끼리 갖고 있는 노래를 돌려가며 녹음해서 듣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랬으니 가끔은 라디오 디제이의 음성이 그 안에 섞여 들기도 했고 음악의 앞뒤가 조금씩 잘려나가는 일도 종종 있었다. 그래도 큰 불만은 없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이런 기억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좋아하는 음악을 듣던 테이프가 수차례씩 늘어졌던 경험을 간직하고 있을 줄 안다. 이후 대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조금씩 음반을 사들이는 재미를 알게 되었는데 사실 이때는 이미 CD(compact disc)의 위세가 LP를 앞지르고 있던 때였다. 하지만 CD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싼 가격도 그랬고 버젓한 음반 하나를 수중에 갖게 되는 기쁨에 있어서는 CD나 LP가 별반 다르지 않았으므로 나는 LP를 더 선호하는 편이었다. 혹시 상처라도 날까 마른 걸레로 먼지를 털어 턴테이블에 음반을 올려놓고 조심조심 바늘 침을 가져가던 기억은 지금도 생생하다.


그렇다고 지금의 내가 엄청난 양의 LP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다거나 그 ‘마니아’를 자처할 만큼 시간적, 물질적 투자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어느덧 CD의 위세에 밀려 LP가 생활 속에서 자취를 찾기 어렵게 되었듯 나의 패턴 또한 그 흐름을 따라 변해온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또 요즘은 CD에서 더 진보되고 다양화된 형태의 음원들이 주변에 많아졌으니 좋던 싫던 거기에 맞춰가고 있는 중이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나는 아직 저 LP들을 처분할 생각이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내 턴테이블은 기특하게도 아직 너무도 잘 돌아가고 있다. 또, 산전수전을 겪어낸 그들 -몇 번 이사를 다니는 동안 험하게 다루어진 LP들은 많이 깨지기도 했고, 잃어버리기도 했고, 또 잘못 보관해 판이 휘어져 못쓰게 되기도 했지만, 그래서 그 숫자는 얼마 되지 않는 것이지만- 안에는 여전히 좋은 음악들이 살아 흐르고 있는 것이다. 한 달? 여섯 달? 어쩌면 일 년을 훌쩍 넘기고도 그 자리에 그대로 있어야 할 만큼 따분하고 지루한 신세로 두는 것이 몹시 미안하긴 하지만 이기적인 주인은 잘 알고 있다. 오랜 시간 기다려 턴테이블에 오른 바흐, 모차르트. 파바로티, 쳇 베이커, 조 카커, 쿠스코, 루이 암스트롱, 서태지와 아이들, 넥스트, 이병우, 벗님들 그 모두는 변치 않고 예전 그 모습 그대로, 그 감동 그대로를 선사해 줄 소중한 친구들인 것을 말이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문태경 | 음악칼럼니스트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