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교조는 투명하고 공정한 학교 운영이 절실하다는 인식 아래 초창기 '촌지 안 받기'운동을 했다. 학교 측이 학부모에게 반강제적으로 갹출해온 불법찬조금 등의 부당성을 폭로했다. 줄기차게 찬조금 없애기 운동을 전개하여 불법 찬조금을 거의 뿌리 뽑았다.
전교조는 교사·학생·학부모가 참여하는 학교 자치의 실현하려 했고, 그 결과 '학교운영위원회'와 '인사위원회'를 설치하여 교사와 학부모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
'급식네트워크'라는 조직을 만들어 학교에서 급식을 제공하고, 외부업체 공급이 아닌 직영하도록 운동했으며, 지자체에서 급식조례를 제정해 학생 지원을 확대하도록 했다.
전교조는 각 교과별로 '교과모임'을 창립했다.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모둠수업, 협동수업, 토론수업 등 창의적인 수업방법과 내용을 연구·개발하여 회지를 통해 보급했다. 교과모임이 주최하는 자율·직무 연수를 통해 결과를 공유했다.
![]() |
전교조는 단체협약 등을 통해 관행적으로 유지되던 학교의 불합리한 제도와 규정을 개선·수정하라고 요구했다. 그 결과 상당한 수준으로 교사들의 불필요한 잡무가 없어졌고, 근무 여건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었다. 여교사와 육아 여건 개선을 위해 기존 60일이던 '출산휴가' 를 90일로 확대하라고 주장하여 모자보건 환경 개선에도 기여했다. 각종 수당을 신설하고 기존 수당의 인상을 요구해, 담임수당 · 보직수당 · 교통비 인상, 보건교사 수당 신설 및 인상, 교직수당의 본봉화와 초·중등 수당 차이를 해소했다.
![]() |
최근에는 성과급 차등 지급 폭 확대의 제한과 균등분배의 확산을 도모했다. 교사·학생·학부모 등의 교육 주체가 더불어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제2의 참교육 실천 운동'을 선언했다.
![]() |
지난 해, 교육의 획기적 변화를 바라던 국민들이 뽑은 진보교육감, 교육의원들. 그 중에는 전교조 출신 교사도 있으며, 전교조의 교육정책을 지지하는 이도 있다. 전교조는 진보적인 교육감, 교육의원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올바른 교육정책수립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