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7일 오전 충암학원 관련 특별감사 브리핑을 갖고 “창호교체 공사비 횡령 의혹 등 32건의 비리를 적발했다”면서 “교직원 29명에게 중징계 등 신분상 조치를 하고 학교 돈을 부당 집행한 3억 9800만원에 대해 회수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충암고 행정실장은 파면, 충암고 교장과 교감은 각각 해임 요구됐다.
특히 창호교체 공사와 신규교원 공개채용 서류 무단 폐기, 야구부 운동장 사용료 횡령 의혹 등 3건에 연루된 10명에 대해서는 사법당국에 고발할 예정이다.
지난 2월 16일부터 14일간 실시된 특별감사 결과 충암학원은 2009년 5월과 6월 학교 본관 일부의 창문 교체 공사를 실제로 하지 않았으면서도 계약서류를 허위로 작성하는 방식으로 8037만 5천원을 지출해 횡령 혐의로 고발 조치됐다.
또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간 충암재단 소속 초중고 교원들이 설립자 묘소를 참배하도록 하고, 충암초등학교 교수학습활동비를 빼내 이 비용으로 사용했다. 충암재단은 ‘식목일 행사 경비’, ‘교직원 가족 등반대회’ 등의 명목으로 1137만 3620원을 충암초에서 지출하도록 했지만 감사를 해보니, 실제로는 이 돈이 목적 외로 사용된 묘소 참배 비용이라는 것이다.
신규 교원을 채용한 서류를 폐기한 것도 채용 비리 의혹을 불러일으킴에 따라 고발 조치하기로 했다. 충암학원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교사 14명을 공개 채용했는데, 문제지와 채점지 등의 서류를 무단 폐기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야구부의 대학 운동장 사용료 허위 지출 혐의 ▲교원인사위원회 회의록 허위 작성 ▲성적 우수생 특별반 편법 운용 등이 이번 감사에서 적발됐다.
충암재단 소속인 충암고는 담임 선택제 운영으로 언론에 집중 보도되었으며, 학생 700명 당 화장실 1개 사용 등 낙후된 교육환경으로도 눈총을 받은 바 있는 학교다.
이동배 시교육청 감사관실 사무관은 “충암재단 이사와 감사들이 위법한 행위를 충분히 알만한 상황에서도 묵인한 정황이 다수 포착됐으며, 이는 한 신문사 출신 개방이사도 마찬가지였다”면서 “이사와 감사에 대한 취소가 3∼4개월 안에 확정되는 대로 임시이사를 파견해 학교를 정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교육청 감사 결과에 대해 충암재단의 반론을 듣기 위해 충암고 행정실에 전화를 걸었지만 “담당자가 없으며 전화번호도 알려줄 수 없다”고 답했으며, 충암고 교장은 전화를 받지 않았다.
- 덧붙이는 말
-
<오마이뉴스>(www.ohmynews.com)에도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