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희망

교과부, 조중동 위주 방과후학교 추진

8개 시도 초중고에 공문, 창의경영학교엔 “2개 이상 개설하라”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가 ‘언론기관의 방과후학교 시범사업 추진에 적극 협조하라’면서 8개 시도교육청으로 하여금 <조선><중앙><동아>일보사(조중동) 위주로 개설된 유료 프로그램을 초중고에 안내하도록 지시한 사실이 6일 확인됐다. 이 프로그램의 수강료는 강좌마다 4만원에서 10만원이다.

특히 교과부가 예산을 대주는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450여 개교에는 특별 안내공문을 보내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개설하라”고 못 박아 해당 학교 일부 교원들이 ‘강압적인 지시’라면서 술렁이고 있다.

조중동 종편 특혜 이어 방과후학교 특혜까지?

대구시교육청이 교과부 공문을 이 지역 창의경영학교에 이첩한 공문.


이에 대해 교원단체는 물론 일반 방과후학교 업체들도 ‘종합편성 채널에 이어 학교사업까지 조중동에 특혜를 주고 있는 것 아니냐’면서 반발 움직임을 보이는 등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6일 입수한 대구시교육청 공문 ‘민간(언론)기관 참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시범운영 학교 지정 운영 안내’를 보면, 조중동과 이 지역 신문인 <매일신문>의 프로그램만 안내되어 있었다.

<조선>은 ‘교과영재창의수학교실(초교)’, ‘중등핵심수학교실(중학교)’, ‘실전대입논술(고교)’ 등 6개 프로그램을, <중앙>은 4개 프로그램, <동아>는 3개 프로그램을 각각 개설한다고 적었다. <매일신문>은 프로그램이 3개였다.

대구시교육청은 교과부 공문을 이첩한 이번 공문에서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는 2개 이상의 프로그램 개설 추진 계획서를 7월 12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일반학교는 조중동 등의 프로그램을 자율로 개설해도 되지만, 이 지역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인 초중고 36개교는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의무 개설하라는 것이다.

창의경영학교는 올해부터 교과부가 창의경영 등을 추진하기 위해 전국 학교의 24%인 2653개교를 지정했는데 ‘사교육절감형, 학력향상형, 학교자율역량 강화형’ 등이 있다. 특히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에는 교과부가 방과후학교 강사료 등을 나랏돈으로 대준다.

교과부 창의인성교육과는 지난 7월 1일 대구를 비롯하여 서울, 경기, 인천,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등 8개 시도교육청에 대구교육청이 받은 내용과 같은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공문은 조중동과 <매일신문> 말고도 <한겨레>와 CBS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대상 언론사로 소개했다.

그러나 ‘교과부 추천 민간기관 방과후학교 시범운영 희망지역 및 프로그램 현황’문서를 살펴본 결과 교과부는 조중동 위주로 방과후 프로그램 개설 상황을 추천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동아>는 8개 지역 전체를 추천했고, <중앙>은 광주를 뺀 7개 지역의 개설 상황을 안내했다.

반면, 세 신문사를 뺀 나머지 언론사의 추천 현황은 미미했다. <한겨레>는 서울, 경기, 인천 등 3개 지역, CBS는 수도권과 함께 부산과 울산을 더 넣어 5개 지역 뿐이었다. <매일신문>은 대구와 부산 지역으로만 국한해 추천됐다.

“조중동 특혜” 비판에 교과부 “<한겨레> 등도 참여”

이에 대해 창의경영학교 소속 대구지역 한 중등교사는 “교과부가 나랏돈으로 조중동식 편협한 세뇌교육을 하겠다는 의도가 드러난 것 아니냐”면서 강하게 비난했다.

최창식 전교조 정책교섭국장도 “교과부가 수학이나 미술, 논술과 같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안내하면서 왜 언론사만 추천했는지 저의가 의심스럽다”면서 “특히 대부분의 지역에서 조중동의 프로그램만 추천한 것은 이들에 대한 특혜이기 때문에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 중견 방과후학교 업체 대표도 “언론사와 일반 방과후업체 프로그램의 내용과 강사가 별반 다를 것이 없고 신규사업을 벌이는 언론사의 프로그램 수준이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모두 수익을 얻기 위한 업체들인데 교과부가 자신들에게 호의적인 신문사의 수익 보장을 위해 이런 해괴한 행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창의인성교육과 중견관리는 “조중동 외에 <한겨레> 등도 참여시켰지만, 이들 언론사는 다른 지역까지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안 된다고 해 수도권 지역만 추천한 것일 뿐 조중동 특혜의 의도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교과부 학부모지원과 중견관리도 “언론사의 프로그램을 우선 안내한 것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언론사들이 기관의 명예를 걸고 공신력 있게 교육할 수 있을 것이라 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이는 말

<오마이뉴스>(www.ohmynews.com)에도 보냅니다.

태그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윤근혁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