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희망

중‧고생 절반 “집중이수제로 학습‧시험 부담 늘어”

전교조 의견조사 결과 … 교과부 취지 무색

올해 처음으로 적용된 2009개정교육과정으로 배우는 중학교 1학년생과 고등학교 1학년생들은 집중이수제로 학습은 물론 시험부담까지 늘었다고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과부가 운영하는 ‘2009개정교육과정’ 홍보 누리집(curri.mest.go.kr)에 소개된 “학습 부담은 줄어들고 학습효과는 높아집니다”라는 등의 문구가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이명박 정부는 지난 2009년 교육과정을 2년 만에 또 고치면서 ‘창의‧인성교육’을 내세웠지만 정작 학생들은 공부에만 내몰리는 것이다.


전교조가 지난 달 14일부터 20일까지 전국 중학교 1학년 734명과 고등학교 1학년 1147명에게 2009교육과정에 대한 물은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자세히 보면 특정 과목을 한 학기에 집중적으로 배우는 집중이수제에 대해 중학생 49.3%는 “과목당 수업 시간이 많아져 오히려 학습부담이 늘었다”고 답했다. “1주일 동안 배우는 과목 수가 적어져서 학습부담이 줄었다”는 답에 3배 가까이 많은 수치다. 17.7%는 학습부담에 차이가 없다고 했다.

동시에 중학생 10명 가운데 6명가량은 “과목당 시험범위가 많아져서 시험부담이 늘었다”(54.7%)고 생각했다. 이 답도 그렇지 않다는 의견(20.9%)보다 3배 정도 많았다.

고등학생도 마찬가지였다. 고등학생 50.3%와 45.2%가 각각 “과목당 수업 시간이 많아져 오히려 학습부담이 늘었다”, “과목당 시험범위가 많아져서 시험부담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 역시 “부담이 줄었다”는 답보다 2배가량 많은 응답이었다.

또 중학생 73.8%, 고등학생 72.3%가 체육 수업을 특정 학기에 몰아배우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

특히 고등학생은 집중이수 과목을 1, 2학기에 교차해서 수업하는 것(1학기 홀수 반은 정보, 짝수 반은 기술‧가정 수업, 2학기에는 반대로 수업)에 대해서도 44.6%가 “반대”했다. 중학생은 집중이수제로 학교마다 학기별로 배우는 과목이 달라 전학을 하면 아예 못 배우거나 중복해서 배워야 하는 과목이 생기는 문제에 대해 55.5%가 “이런 일이 안 생기도록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영어와 수학 수업시간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도 중학생(59.6%), 고등학생(49.2%) 모두 반대 의견이 많았다.

도덕‧사회‧지리‧기술가정 등 선택과목의 수업시간을 줄이거나 개설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중학생은 44.3%가 “찬성”이었고 고등학생은 55.8%가 “반대”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신성호 전교조 참교육실 정책국장은 “과목의 수업시간이 줄어도 전체 수업 시수가 줄어들지 않고 대신 국어와 영어, 수학 과목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을 잘 모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라며 “이들 과목들의 내용이 재미도 없고 내용도 많고 체험이나 실기 위주가 아닌 지식 위주로 돼 있어서 줄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반영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전교조는 “충분한 연구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발달단계가 고려되고 전인적 성장이 가능한 교육과정이 마련돼야 한다는 교육계의 요구가 매우 시급한 과제라는 게 확인됐다”고 밝혔다.
태그

전교조 , 개정교육과정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최대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