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당 후원과 관련해 확대 수사를 벌여온 검찰이 장석웅 전교조 위원장 소환을 마지막으로 늦어도 22일 경 전원 기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등의 말을 종합하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을 포함해 정당 후원과 관련해 1400여명의 교사를 수사해 온 전국의 각 지방검찰청이 오는 21일이나 22일 일괄적으로 기소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이유로 400여명의 공무원도 기소할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이 지난 2일 1만원을 후원했다고 공소시효가 3일 남은 서울의 한 교사를 처음으로 기소한 지 20일 만이다.
만약 검찰이 기소를 강행하면 사상 최대 규모의 기소 사건이 된다. 지난 1989년 전교조가 출범할 당시 1500여명이 해직될 때도 100여명만이 기소됐다는 게 전교조의 설명이다. 이를 비교하면 기소 인원은 14배에 달한다.
장석웅 위원장은 20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출석했다. 이날 오전 10시55분 사건 담당인 공안2부로 들어간 장 위원장은 1시간가량 정당에 정치후원금을 낸 것과 관련해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장 위원장 소환으로 사실상 이번 조사를 마무리했다.
장 위원장은 이번 확대 수사에 대해 “이명박 정부의 무한경쟁교육을 줄기차게 비판해 온 전교조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자 표적수사”라는 다시 한 번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장 위원장은 전교조 탄압 중단을 요구하며 지난 달 29일부터 16일 동안 청와대 앞에서 단식농성을 진행했다.
장 위원장은 “이미 지난 해 273명이 기소돼 무죄 취지의 판결이 나왔다. 그런데도 무더기 기소를 하려고 한다. 분명히 교육복지운동과 혁신학교운동을 주도하는 전교조를 겨냥했다. 시시비비는 법정에서 가려질 것”이라며 “교사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는 정치적 기본권에 대해 사회적인 논의가 활발해 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최근 출범한 ‘교사‧공무원 정치기본권찾기 공동행동’과 함께 오는 22일~23일 650여명 규모로 1박2일 기소 규탄 투쟁을 진행하는 한편 다음 달 10일까지 교사과 공무원의 정치기본권 보장 입법을 촉구하는 청원 서명을 벌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