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달 27일 연 제62차 전국대의원대회(대대)에서 대의원들은 이 같은 내용의 하반기 사업계획(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구체적으로 보면 학교혁신 확산을 위해 학교혁신을 연구하는 조직을 1개 지회에 1개 이상을 만들어 최대 1000개의 모임을 꾸리기로 했다. 또 민주적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 제정 사업과 교사들의 행정 업무를 줄이는 투쟁을 펼쳐 학교혁신을 위한 제도를 만들어 낸다는 계획이다.
이명박 정부의 경쟁교육 저지와 관련해서는 국정감사 기간에 교과부의 교원평가 위법성을 알리는 동시에 동료평가 불참 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2009개정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중학교 전·출입학생들 가운데 중복이나 미이수 과목 발생, 미이수 보충학습의 파행 사례를 모아 학부모 소송을 추진하는 한편 참교육과정 총론을 만들기로 했다.
이를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는 날인 오는 11월 13일 노동자대회에 앞서 전국교사대회를 열어 노동자와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린다. 장관호 전교조 정책실장은 "학교혁신 공감대 형성, 정치적 기본권 확보, MB정권에 대한 총체적 대응을 노동자·민중진영과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의원들은 교원평가 반대와 차등성과급 폐지 투쟁 등에 관한 의견을 많이 내놓았다. 한 대의원은 "정당 후원과 관련해 힘든 조합원들을 위한 사업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또 다른 대의원은 "혁신학교 등에 대해 진보교육감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 대한 사업 내용이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학교별 성과급 의견 분분 속 '유회
반납된 성과금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차등성과금 폐지 투쟁에만 사용하자는 의견과 사회적 기금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별도로 올라온 차등성과급 반납액 사용처와 관련한 안건은 통과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정족수인 231명보다 30여명이 모자란 202명의 대의원만이 자리를 지켜 유회된 탓이다. 추경예산(안) 등 나머지 안건도 다뤄지지 못했다. 이날 심의하지 못한 안건은 임시 대대나 내년 2월 정기 대대에서 다뤄지게 된다.
장석웅 전교조 위원장은 "전교조가 교육에서 시장주의 교육정책을 넘어 진보적 교육체제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상상력과 통찰력을 발휘해야 한다. 학교혁신의 대중적 기반을 창출하자. 정치적 기본권을 법적으로 보장받는 쟁취 투쟁을 해 가자. 자신 있다"고 밝히며 "전교조가 교육의 중심이다. 새로운 교육체제의 창조자가 되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