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 입주, 학생 수요 예측 실패
![]() |
![]() |
서울은빛초와 서울 서부교육지원청에 따르면 올해 새학기 은빛초는 기존 25개 학급에서 39개 학급으로 14개 학급이 늘어난다. 주변 장기임대 아파트 단지(은평뉴타운 3지구) 입주가 이달부터 시작되어 전입학생이 큰 폭으로 늘어날 예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수요를 제때 예측하지 못한 교육당국의 교실 신축 늑장공사 진행으로 새학기 학생들이 들어갈 교실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부교육지원청의 한 과장은 “지난 해 11월에 교실 20개에 대한 신축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에 오는 6월에는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결과적으로 수요 예측을 잘못한 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교실이 마련되지 않은 3개월간 14개 학급 311명의 학생들에 대한 대책을 놓고 이 학교와 교육지원청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다.
이 학교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들은 지난 2일 ‘교실 부족문제에 대한 요구사항'을 발표하고 ▲컨테이너 교실 11개를 새로 짓고 부족한 3개의 교실은 기존 학교의 특별실을 활용하는 방안 ▲주변 아파트의 미입주 상가를 교실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교육지원청에 제안했다.
은빛초 교장 “학교 예산으로는 교실마련 어려운 상태라…”
이 학교 김 아무개 교장은 “현재 학교 예산으로는 컨테이너도, 주변 아파트 상가를 활용하는 것도 모두 어려운 상태”라고 하소연했다.
이 학교 정기훈 창의인성계발팀장도 “교육청에서는 4개의 컨테이너만 마련해주고 나머지 10개는 특별교실 등을 활용하라고 하고 있다”면서 “8개밖에 없는 특별실을 모두 써도 교실이 부족하지만 음악실과 미술실, 동아리실 등 특별실을 없앤다면 또 다른 교육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서부교육지원청의 이창하 학교시설지원과장은 “기존 계획된 4개의 컨테이너 말고 7개의 컨테이너를 더 만들게 되면 2억4천만 원의 예산이 추가 소요되며 예산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서 “교실이 부족한 기간이 3개월이니까 이 기간 동안만 특별교실을 사용하는 게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 덧붙이는 말
-
<오마이뉴스>(www.ohmynews.com)에도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