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12시, 서울 영등포의 한 음식점. 백발의 한 백인 신사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핀란드에서 18년 동안 국가교육청장을 맡아 세계 최강 교육을 일군 에르끼 아호(75, Erkki Aho) 전 국가교육청장이다.
![]() |
아호 전 청장은 "한 달에 1만원씩 정당을 후원한 혐의로 1500여 명의 한국 교사들이 재판을 받고 있다"는 말을 전해 듣더니 탄성을 터뜨렸다.
초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1973년부터 1991년까지 핀란드 초중등 교육을 총괄한 아호 전 청장은 다시 입을 뗐다. 그는 "핀란드는 학생도 15살부터 정당의 당원이 될 수 있고 18살부터 투표권이 있다"면서 교사의 정치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 |
"국회의원 200명 가운데 10%가 핀란드 교원노조(OAJ) 출신 교사들이다. 이들은 의원직이 끝나면 다시 학교로 돌아가 학생들을 가르친다. 교사들은 당연히 시민으로서 정당에 가입해 당비도 내고 행사에 참여도 하고 있다."
![]() |
그는 이날 오전 10시 40분부터 2시간에 걸쳐 핀란드의 학생인권, 학교폭력 문제, 교원노조 활동 등에 대해 쉴 틈 없이 말을 풀어갔다.
이날 전교조 사무실에서 음식점으로 장소를 옮겨가며 진행한 간담회에는 장석웅 전교조 위원장과 정진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도 참석했다.
다음은 아호 전 청장과 나눈 대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핀란드에도 '왕따'가 있나?
"당연히 있다."
-한국은 학교폭력 문제로 시끄럽다.
"우리도 나이스(NICE)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폭력 없는 좋은 학교 만들기 운동에 동참한 학교가 80%다. 우리가 이 운동을 하는 이유는 가해 학생을 처벌하는 것이 학교폭력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학교폭력을 해결하나?
"왜 가해학생이 생기는지 제도적 원인을 해소하려고 한다. 문제를 빨리 발견하고 여럿이 달라붙어 소통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 과정엔 학생들도 집단으로 참여한다. 학교폭력은 개인을 처벌하는 것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 집단으로 해결해야 한다. 사회복지 시스템과 돌봄 방식에 대한 성찰을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 3면에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