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fa: The Anti-Fascist Handbook》의 저자이자 럿거스대 교수인 마크 브레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안티파’를 국내 테러 조직으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뒤 극우 세력의 살해 협박을 받아 가족과 함께 스페인으로 피신했다. 브레이는 안티파가 조직이 아닌 느슨한 반파시즘 운동임을 강조하며, 트럼프가 이를 “저항 세력 악마화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MAGA 운동을 “파시스트적”이라고 규정하며, 미국 내 학문·표현의 자유와 시민 권리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했다.
프린스턴대 역사학자 조셉 프론칙은 인터뷰를 통해 안티파의 역사적 뿌리를 1921년 이탈리아의 ‘아르디티 델 포폴로’에서 시작해 1930년대 팔레스타인, 1980년대 미국 스킨헤드 운동까지 추적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안티파 테러 조직 지정 시도를 비판한다. 그는 반파시즘 운동이 다양한 이념을 포용한 집단적 저항이었으며, 폭력에 저항하면서도 스스로는 폭력에 의존하지 않은 역사적 전통을 강조한다. 오늘날 파시즘의 부활에 맞서기 위해서는 과거 반파시스트들의 실천에서 교훈을 얻고, 분열된 좌파 내에서도 연대와 집단적 방어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2025년 9월 26일, 수백 명의 시위대가 일리노이 주 브로드뷰의 ICE(이민세관단속국) 구금소 앞에서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이민 단속 작전인 ‘Operation Midway Blitz’에 항의하며 최루가스와 페퍼볼에도 굴하지 않고 집회를 이어갔다. ICE는 어린이도 포함된 시위대에 무차별적으로 화학무기를 사용했고, 이는 지역 주민들과 인권 단체의 강한 비판을 불러왔다. 이민자 권리 단체, 노동조합, 지역사회는 이를 단순한 단속이 아닌 ‘국가 테러’라 규정하며, 연대를 통해 저항의 목소리를 계속 높이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주의 오크플랫(Oak Flat)은 서부 아파치(Western Apache) 부족에게 종교적·문화적으로 신성한 장소이지만, 이곳은 거대 구리 광산 개발을 추진하는 다국적 기업 리오틴토(Rio Tinto)와 BHP의 표적이 되었다. 아파치 강홀드(Apache Stronghold) 등 원주민 단체는 종교 자유 침해를 이유로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연방대법원이 사건 심리를 거부하면서 법적 투쟁은 난관에 봉착했다. 광산 개발은 전통 의식인 ‘선라이즈 댄스(Sunrise Dance)’의 공간을 파괴하고 아파치의 종교 실천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며, 이는 단순한 토지 분쟁이 아니라 생존과 정체성의 문제다. 이 싸움은 미국의 종교 자유가 비기독교적 전통에 얼마나 무관심한지를 보여주며, 원주민 권리와 자본주의적 개발 논리가 충돌하는 미국의 고질적인 구조를 드러낸다.
정부 셧다운 속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의회의 승인 없이 수십억 달러의 해외 원조금을 유보하는 '예산 전횡(impoundment)'을 감행했고, 대법원은 이를 묵인해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백악관은 이를 계기로 연방 정부를 재편하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으며, OMB 국장 러스 보우트는 의회 권한을 침해하며 권력을 집중시키려는 핵심 인물로 떠올랐다. 민주당은 이번 셧다운 협상에서 불법 자금 유보를 막고, 예산집행의 투명성과 책임을 강화하는 조항을 관철하지 못하면, 향후 행정부의 권력 남용을 사실상 허용하는 셈이 된다. 지금이야말로 민주당이 확고한 대응에 나서야 할 결정적 시점이다.
2025년 10월 시작된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항공 교통 관제사들이 무급 근무에 내몰리며 병가가 급증하고, 기존의 인력난이 더욱 심화되면서 주요 공항에서 항공편 지연과 취소가 속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항공 안전의 중복 시스템에도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FAA 아카데미 운영 중단으로 신입 관제사 교육에도 차질이 생겼다. 정부는 항공 시스템 현대화를 위해 예산을 확대하고 있으나, 셧다운의 장기화는 향후 수개월간 지속적인 영향과 회복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캐나다 공항과 항만에서 운영 중인 미국의 국경 사전심사 제도는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지만, 최근 확장된 미국 국경요원의 권한은 캐나다의 주권과 시민권 보호에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신법 하에서는 무기 소지, 강제 수색, 여행자 억류까지 가능하며,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 추궁도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대사가 제기한 제도 중단 가능성은 오히려 캐나다가 이 제도의 실질적 비용과 민주주의적 가치 훼손 여부를 재검토할 기회가 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반(反)추방 운동가들을 새로운 ‘국내 테러 위협’으로 규정하며, ICE가 이민 단속을 기록·공개하는 활동가들을 직접 겨냥하기 시작했다. ICE는 메타에 행정 소환장을 보내 이 계정들의 개인정보를 요구했으나, 법원이 일시적으로 이를 차단했다. 시민자유 단체들은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익명 발언권을 침해하는 위험한 권한 남용이라 비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ICE와 국토안보부가 이미 행정 소환장을 남용해왔으며, 이번에는 정치적 반대세력을 억압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고 경고한다. 민주주의적 권리 수호를 위해 활동가·시민 모두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법적 권리를 숙지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25년 10월 1일, 미국 연방정부는 예산안 합의 실패로 공식 셧다운에 돌입했다. 공화·민주 양당은 단기 예산안 처리에 두 차례 실패했으며, 이는 약 75만 명의 연방 공무원에게 급여 중단과 일시 해고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셧다운을 계기로 대규모 공무원 해고를 추진 중이며, 이에 대해 연방노조가 위헌 소송을 제기했다. 핵심 쟁점은 오바마케어(ACA) 보조금 연장 여부로, 이를 둘러싼 정파 간 대립이 정부 운영을 멈추게 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연임 도전을 포기하면서 민주당 후보 조흐란 맘다니와 무소속으로 출마한 앤드루 쿠오모 간의 양자 구도가 뚜렷해졌다. 맘다니는 트럼프가 쿠오모를 지원하려 한다며 선거 개입을 비판하고, 트럼프식 권위주의와 생활비 위기를 동시에 해결할 진보적 비전을 강조했다. 그는 임대료 동결, 무상 보육, 무료 대중교통, 주택 소유자 보호 등 서민 중심 공약을 제시하며, 뉴욕 최초의 무슬림·남아시아계 시장이 될 가능성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