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는 국가보안법 도입 이후 수백 개의 노동조합이 해산되고, 주요 노조 지도자들이 수감되거나 망명하는 등 노동운동이 전례 없는 탄압을 받고 있다. 정부는 무역조합조례 개정을 통해 외부 자금 차단과 활동 제한을 추진하며, 노동자들 사이에는 두려움과 무관심이 퍼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조합원들과 시민단체, 지역 커뮤니티의 창의적인 협력이 이어지며, 독립 노조는 여전히 희망의 불씨를 지켜가고 있다.
필라델피아 시의 위생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공무원 9,000여 명이 생활임금을 요구하며 단행한 수십 년 만의 최대 규모 파업이 8일 만에 종료됐다. 평균 연봉 4만6천 달러로는 시내 거주 요건을 충족하며 살아가기 어렵다는 절박함이 시민들의 지지를 끌어냈고, 사회 정의와 인종 정의를 강조한 연대가 물결쳤다. 파업은 단지 노동계약 투쟁이 아닌, 흑인 노동자들이 중심이 된 필라델피아 노동운동의 역사적 계보를 잇는 ‘사회 정의 노조주의’의 부활로 평가받고 있다.
필라델피아의 최대 도시 노동자 노조인 AFSCME 디스트릭트 카운슬 33이 1986년 이후 처음으로 파업에 돌입했다. 쓰레기 수거, 경찰 통신, 수도·보건 등 주요 공공서비스가 중단되며 시 당국은 임시 쓰레기 수거소 운영 등 비상 대책에 나섰다. 노조는 매년 8% 임금 인상과 전 직원 의료 혜택을 요구하며, 대규모 도심 축제 직전까지 파업이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1935년 제정된 와그너법(전미노동관계법, NLRA)은 노동자 조직화 권리를 보장하며 미국 노동운동의 황금기를 이끌었지만, 현재 이 법은 구조적 약점과 반노동 정치·법률 전략으로 인해 무력화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노동관계위원회(NLRB)를 마비시키고 친기업 판례를 뒤엎으려 시도하면서 노동자 보호 장치를 대거 철회하고 있으며, 민주당조차도 실질적인 개혁에는 실패해왔다. 오늘날 몇몇 노조는 전통적 NLRB 경로 대신 기업의 자발적 중립 협약이나 카드 체크 인정을 통해 새로운 조직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이는 90년 전 와그너법이 설계한 집단교섭 체제와는 전혀 다른 예외적 접근이다.
미국 직업안전보건청(OSHA)은 점점 더 빈번해지는 폭염 속에서 실내외 노동자의 열사병을 막기 위한 연방 규칙 제정을 두고 청문회를 열었다. 보건 전문가들과 노동자 권익 단체는 자율적 조치에 의존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고온 시 의무적인 물·그늘·휴식 제공이 법제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산업계는 일률적 기준이 과도하다며 네바다식 자율 평가 방식을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는 사실상 규제 회피 수단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노동운동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뉴욕시에서조차 노동조합 가입률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지만, 조합 지도부는 뚜렷한 대응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공공 부문은 교섭의 구조적 제약에 갇혀 있고, 민간 부문은 조직화에 소극적이며, 전면적인 연대와 투쟁 없이 점점 고립되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조합원과 활동가들이 기층에서부터 압박을 가하고, 조합 간 연대를 통해 공동의 행동을 구축해야 할 때라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
2025년 6월 4일,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수만 명이 대통령 하비에르 미레이의 초신자유주의 경제정책에 반대하며 거리에 나섰다. 연금삭감, 아동병원 예산 축소, 장애인 복지 중단 등 전방위적 긴축조치에 맞서 여성, 노동자, 과학자, 장애인 가족, 의사 등 다양한 계층이 함께 집결했고, 이는 10주년을 맞은 ‘니 우나 메노스’ 운동과도 결합하며 정치적 연대를 넓혔다. 미레이 정부는 복지 축소를 ‘키르치네르주의와의 전쟁’으로 정당화하지만, 점차 더 많은 시민들이 이를 국가와 사회의 근간을 파괴하는 반민주적 공격으로 간주하며 조직적으로 저항하고 있다.
가자지구 학살에 대응해 프랑스 최대 항만의 CGT 부두노동자들이 이스라엘행 무기 부품 적재를 거부했고, 이는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스웨덴 부두노동자들은 6일간 합법적인 무기 반출입 보이콧을 단행했으며,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해고된 노조 지도자의 복직을 요구하는 국제 캠페인도 벌어지고 있다. 서방 정부가 전쟁을 지원하는 가운데, 부두노동자들은 전쟁과 억압에 맞선 실질적 저항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콜롬비아 플랫폼 노동자들은 ‘협업 경제’라는 미명 아래 열악한 노동 조건과 알고리즘 통제에 놓여 있으며, 이들은 공식 고용관계 인정과 사회보장 가입, 알고리즘 규제를 요구하며 조직화되고 있다. ACCAPP, SINATRAPP, UNIMEDP 같은 노동조합은 사용자 중심 조합과 정부 간 비공개 협상에 반대하고, 정부의 소극적 대응을 비판하며 노동개혁 법안을 위한 국민투표를 추진하고 있다. OTAC는 노동자의 단결과 권리 보장을 위한 전선을 구축하고자 하며, 이들의 투쟁은 플랫폼 자본주의가 노동과 복지를 어떻게 해체하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