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팀도 몰러, 국회도 몰러...아무도 모른다

17일 연속토론회 ‘한미FTA 시청각미디어 분야 협상 분석 및 대응방안’

한미FTA 4차 본협상을 앞두고 국정감사까지 겹치면서 협상팀의 협상력과 한미FTA 졸속 추진을 드러내는 근거자료들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

평양 측의 핵실험[10]

[기고]평양 측의 핵무기 개발·보유·실험은 미국의 대북 정책이 낳은 '쓴 열매'

가능한 한 '공정한 시각'을 가지려는 듯이 행동하는 일부 인사들조차 북의 핵무기 보유나 핵실험이 일본이나 대만의 핵무기 보유를 자극하는 등 동아...

범국본 23일 집중, 4차 협상 대응 투쟁 계획 밝혀

경찰의 위법한 집회 방해도 규탄

범국본이 4차 협상 저지 투쟁의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현재 모든 집회를 불법화 하고 있는 경찰의 위법한 '집회 방해'를 규탄했다. 범국본은 협...

반FTA 폭력 시위로 호도하며 여론 몰이 나서

김태환 도지사, 4차 협상 앞두고 특별 담화문 발표

임기환 집행위원장은 "도지사나 정부는 민감품목 지적되면 감귤산업이 보호되는 것처럼 4차 협상을 활용하자고 하지만 이는 도민들의 FTA 협상 반대...

국정홍보처, 17일 국정감사서 혼쭐날 듯[2]

천영세, 한미FTA 홍보 문제 집중 추궁

천영세 민주노동당 의원은 17일 국정홍보처가 각종 광고와 국정브리핑 등을 이용해 한미FTA를 홍보해온 '황당한 사례‘를 파헤치고 이를 집중 추궁...

한미FTA 미래, ‘이레사’의 혁신적 신약 논란

한일 보건의료 단체들 ‘혁신적 신약 아니다’ 한 목소리 주장

보건의료단체들은 “약은 유효성과 안전성에 근거하여 그 가치가 평가되어야 하며, 약값은 합리적으로 평가된 약의 가치에 근거하여 결정되야 한다”고 ...

의약품 특허연장, 약제비 부담 1조원 증가

미국 요구 중 두 가지만 수용해도, 건강보험 '휘청'

미국이 한미FTA 협상에서 요구하고 있는 의약품 특허 기간 연장 요구를 한국정부가 수용할 경우, 신약의 특허 기간이 현재보다 약 5년 정도 연장...

북핵실험으로 한미FTA, 은혜 받았다[6]

[걱정브리핑 칼럼] 4차 협상 저지 위해 제주도로 가자!

'한미 동맹'이 뭣이든 간에, '북한이 핵을 가졌단다'라는 것과 '미국과의 동맹'을 깰 수 없다는 것 만이 국민들의 뇌리에 박힐 뿐이다. 당연 ...

근본적인 책임은 미국이, 하지만 북한도 자유로울 수 없다[2]

[연속기고](1) 북한 핵실험 국면, 어떻게 볼 것인가

이번 북한 핵실험에 대해서 주목할 만한 것 중 하나는 인과관계보다 현상분석과 대안마련이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논리적 모순이다. 일부 타당성이 있지...

유엔 안보리, 경제,외교적 대북 제재결의안 채택

북 "불합리한 결의안 전면 거부", 개성 금강산 관광 등은 판단 남아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가 15일 오전 2시45분 (한국시간) 북의 핵실험을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경제 외교적 제재를 가하는...

부자 위한 세제감면, 숫자놀음 복지 지출

심상정, 재경위 국감 "실제 복지 재정이 증가한 건 아니다" 지적

심상정 의원은 비전 2030 등 노무현 정부가 대단한 복지 정책을 내놓는 듯 하지만 실제는 분류조작으로 복지재정 치를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프타와 함께 사라진 멕시코의 노동권

[멕시코실태보고서](5) 노동권 보호기관의 무력화와 노동조합

노동자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합법적인 위원회가 없는 점과 심판소의 법률적 구성원의 편파성은, 다수의 노동자들이 심판소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