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더유니온은 29일 오전 서울시 중구 경향신문사 별관 사무금융노조 교육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3개 플랫폼사 AI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라이더유니온 조합원 12명은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이 실험에 참가해 일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중계해 자료를 모았다. 배달노동자들은 7일엔 AI 배차를 100% 수락했고, 8일엔 일부 거절도 하며 자율적으로 선택했고, 9일엔 신호와 속도를 준수하며 배달했다.
실험에 참가한 라이더들은 AI알고리즘을 ‘족쇄’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 실험에서 AI 배차를 100% 수락한 경우,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비해 주행 거리는 증가했고, 시간당 배달건수와 수익은 감소했다. 이에 따라 노동강도와 피로도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AI알고리즘을 ‘족쇄’라 한 것이었다.
반면 마음에 들지 않는 AI 배차는 거부하며 자율적으로 운행한 경우 효율성(시급)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건당 주행거리, 평균 전체 주행거리는 감소하고 시간 당 배달건수는 많아졌다. 이 실험을 분석한 연구자 박수민 씨는 “배달 노동자들마다 체력, 주행 스타일, 지역 특색 등 활용가능한 정보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배차를 취소하거나 수락해 효율성을 높였다”라며 “배차 선택/취소는 노동자들이 노동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시간에 대한 자율권을 행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비용과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은 노동자의 몫이 돼야 한다”이라고 강조했다.
박 씨는 이어 “음식배달산업 성장에 따라 산업안전 문제도 늘어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부재한 상황으로 교통안전과 산업안전을 조율할 수 있는 대책과 사회적 규범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 실험에서 신호를 준수하며 주행한 날은 배달노동자의 완료 콜 개수가 감소하고, 콜당 총 소요시간이 증가했다. 자연스럽게 수입도 줄어 9일 실험에 나선 참가자들은 가장 낮은 시급을 가져갔다.
실험 참가자 A씨는 AI알고리즘은 배달플랫폼엔 획기적인 시스템이지만, 배달노동자에겐 큰 위험이 따른다고 호소했다. A씨는 “AI알고리즘 도입으로 배달 노동의 상황이 너무나도 많이 달라졌다. 실험에도 나왔듯 배차의 자율선택이 가능할 때 자신의 체력과 패턴에 맞게 일을 조절할 수 있지만, AI알고리즘은 배차를 거부할 경우 큰 패널티를 주고 있다. 큰 플랫폼의 배차를 거부했을 때 앞으로 근무하지 못 할 수 있다는 압박이 심하고, 업체들끼리의 경쟁은 노동자를 위험한 상황으로 몰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안전하고 신속한 배달을 위해 현재의 불합리한 제도가 빨리 개선되길 바란다”라며 “큰 플랫폼 회사에서 노동자의 현실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위원장은 “배달노동자들이 받는 패널티는 사실상 AI를 통한 노동자 통제와 관리라고 볼 수 있다”라며 “해외에선 AI를 이용한 통제를 근로자성의 증거라고도 보고 있는데 한국의 노동 관리·감독 기관들은 너무 친기업적이라 이 문제를 예민하게 다루지 않는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실험 결과와 라이더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플랫폼사와 정부에 ‘안전배달료 도입’을 촉구했다.
박 위원장은 플랫폼사엔 ▲실거리, 오토바이 출입금지 아파트, 날씨와 도로정체, 조리시간 등을 고려한 배달시간기준 책정 ▲소비자 평점 및 리뷰제도 폐지 ▲AI의 실시간 배달료 정책 폐기 및 기본배달료 인상, 정당한 거리 할증제 도입 ▲AI 수락 거절에 따른 패널티 제도 폐지 혹은 명확한 기준 공개 ▲노동자들의 산재 예방 및 안전보건, 근무조건, 평점, 처우와 관련한 데이터 및 알고리즘 정보 제공 및 노조의 의견 알고리즘에 반영 등을 요구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안전운행이 가능한 수준의 배달료인 ‘안전배달료’ 도입 ▲배달업체의 배달시간 제한 정책과 빠른 배송광고 규제 ▲AI알고리즘을 이용한 배달기업의 부당한 노동통제 규제 ▲노동자들의 산재 예방 및 안전보건, 근무조건 및 처우와 관련한 데이터 및 알고리즘 정보에 대한 노동자의 정보접근권 보장, 불공정한 AI알고리즘 시스템에 대한 노동자 개입 조치 마련 ▲배달 노동자의 신호 준수를 위한 강력한 교통 법규 단속 정책 병행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