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마이뉴스> 홈페이지에 '한·칠레 FTA의 조속한 비준을 호소합니다.'라는 제목의 팝업광고와 배너광고(오른쪽 위)에 실려 있다.
한·칠레FTA 국회비준을 반대하는 농민과 경찰간의 충돌로 부상자가 속출한 전국농민대회가 끝난 지 하루가 지난 20일 '열린 진보'를 편집철학으로 한 <오마이뉴스>의 팝업광고에, '한·칠레FTA의 조속한 비준'을 호소하는 경제5단체의 광고가 실려 네티즌들의 비난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오마이뉴스>는 이날 밤부터 홈페이지에 한국무역협회·대한상공회의소·전국경제인연합회·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한국경영자총협회 공동명의의, '한·칠레 FTA의 조속한 비준을 호소합니다.'라는 제목의 팝업광고를 실었다. 또 홈페이지 우측 상단에 같은 내용의 배너광고를 실었다.
이 팝업광고는 다섯의 영상이 연속해 바뀌는 플래시 영상으로, 각 영상마다 큰 제목으로 한·칠레FTA 비준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전 세계적으로 FTA가 확산됨에 따라 우리 경제는 국제적 외톨이가 되고 있다."
"한·칠레FTA의 비준 지연은 우리경제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
"한·칠레FTA는 농산물 수입개방을 최소화하면서 우리 공산품의 해외시장을 넓혀 나가는 협정이다."
"우리 경제계도 개방과 충격과 피해에 대한 농어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데 적극 노력할 것이다."
마지막 영상에는 "FTA체결은 무역의존도가 70%에 육박하는 우리 경제의 생존전략이다. 국가 경제를 위해 한·칠레FTA 비준은 더 이상 미룰 수 없으며 이번 정기국회 내에 꼭 이루어져야 내년 초에 발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광고는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FTA를 체결해 상호간 무역장벽을 제거하고 상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해 교역량 증대를 꾀하고 있다"면서 "아직까지 단 한 건의 FTA도 체결하지 않은 우리나라는 관세 및 각종 무역장벽에 가로막혀 해외시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한·칠레FTA 국회비준과 발효의 지연으로 "칠레시장 점유율 하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광고는 "한·칠레FTA는 쌀·사과·배·마늘·양파·고추 등 우리 농업의 근간이 되는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인하를 유보해, 우리 농산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한 협정"이라면서 "정부에서도 FTA에 따른 농어촌의 어려움을 감안해 119조원에 달하는 농어촌 지원대책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지원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FTA가 확산됨에 따라 우리 경제는 국제적 외톨이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오마이뉴스>의 자유게시판에는 이 광고를 본 네티즌들의 항의글이 쇄도하고 있다. 한·칠레FTA 국회비준 반대와 WTO 개방 반대, 농민 생존권을 외치며 농민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인 지 만 하루도 안된 마당에, '열린 진보'를 자처하는 <오마이뉴스>가 이러한 광고를 실었다는 데 네티즌들은 적지 않은 분노를 표출했다.
자신을 지난 19일 열린 전국농민대회에 참가한 농민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글쓴이: 성난농민)은 "평소 오마이뉴스를 애독하는 사람인데, 아무리 돈이 좋다고 하지만 우리농민 다 죽이는 이런 광고를 실을 수 있는가"라며 분노를 터트렸다.
한 네티즌(앵란이)은 "7만여명의 농민들이 이른 아침 새벽밥 먹고, FTA 비준을 저지하기 위해 전경들과 싸우며 피흘리고 돌아갔는데 양심이 있는가"라며 한탄했다.
'송기호'라고 밝힌 네티즌은 "농민집회가 있었던 것이 문제가 아니"라면서 "광고가 일반 기업광고나 상품광고도 아니고,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광고가 실려, "오마이뉴스의 창간정신의 변질로 보여지기에 충분하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했다.
네티즌 '오창익'은 "늘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니 어느 정도의 광고 공세에 대해 이해하려 한다"면서도 "오마이뉴스의 역할이 진정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인지, 내부에서 최소한의 성찰 기능도 작동하지 않고 있는지"를 따져 물었다.
네티즌 '白馬'는 "만약 누군가 의뢰를 한다면 파병촉구 광고도 받을 것인가"라며 비난하기도 했다. 또다른 네티즌은 "자본주의 상업언론의 길을 그대로 따라간다면, 오마이뉴스에 근조화한을 보낼 것"이라고 비난했다.
자신을 오마이뉴스 기자회원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대표의 사과를 요구하며, "오마이뉴스 폐간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한·칠레 FTA과 관련해 네티즌간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네티즌 '에이텍'은 "무작정 반대해 FTA 체결 안되면 대안이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지금 이 나라는 농업만으로 살아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 네티즌(정신차려)은 반론을 제기했다. 그이는 "일본도 자국농업을 보호하려고 농업은 FTA에서 제외해 협정을 맺었으며, 유럽도 직접지불제도를 80%까지 확대하고 농업에 있어 경쟁력이 있다는 미국도 마찬가지다."라고 반박했다.
그이는 또 "한·칠레FTA는 공업수출을 조금 늘리려고 농업을 완전히 '말아먹겠다'는 것"이라며 "한국이 칠레수출로 차지하는 비중 3%을 FTA 체결로 5%까지 확대하고, 반면 수입되는 농산물로 우리의 농업은 '쑥대밭'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제5단체의 '한·칠레FTA의 국회비준' 호소 광고

△"한·칠레FTA의 비준 지연은 우리경제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

△"한·칠레FTA는 농산물 수입개방을 최소화하면서 우리 공산품의 해외시장을 넓혀 나가는 협정이다."

△"우리 경제계도 개방과 충격과 피해에 대한 농어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데 적극 노력할 것이다."

△"한·칠레FTA 비준 이번 정기국회 내에 꼭 이루어져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