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기사, '사장' 허울 벗고 노동자로

화물연대에 이어 덤프연대 당당히 출범, 7만 노동자 조직화에 박차


18일 오후 8시 30분 성균관대 유림회관에서 '덤프연대' 창립총회가 열렸다. 4개월 간의 준비 끝에 열린 이 날 총회는 700여 명의 덤프트럭 기사들이 모인 가운데, 시종 흥분과 기대의 분위기 속에 진행되었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서울북부, 서남, 남동, 서북권역을 비롯해 인천과 경기권역 등에서 민주노총 덤프연대에 가입한 조합원들이 참석했다. 창립대회에서 조합원들은 규약과 규정을 제정하고, 김금철 준비위원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했으며, 이운용 서남권역위원장, 곽희래 서북권역위원장, 이춘석 경기권역위원장 등을 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노조는 건교부에 대해 △과적 단속 해결 △경유값 보조금 지급 △운반비 현실화 △도심권 통행제한 완화 △덤프차 공영주차장 확보 등이다. 이와 함께 노조는 노동시간 단축, 도급대금 체불 근절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화물트럭기사가 주로 고속도로를 통해 물류를 운반하는 반면 덤프기사는 건설현장에 쓰이는 흙이나 골조를 운반한다. 덤프연대는 조직 대상을 약 7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 1천여 명의 조합원이 가입된 상태다.

노조는 "화물연대의 조직화 속도가 매우 빨랐던 것으로 볼 때 덤프연대도 노조 결성식 이후 조직 확대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덤프기사들 역시 화물기사나 레미콘기사처럼 지입차주 형태로 고용되는 '사장'- 일명, 특수고용직 비정규직 노동자다. 이제 그 허울뿐인 사장의 이름을 벗고 당당히 '노동자'임을 선언한 덤프연대 노동자들의 열기가 올 하반기 투쟁에 어떻게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더이상 갈 곳 없다는 심정으로 노조 결성한다.
주된 현안 과적단속, 걸리면 덤프기사만 벌금, 누적되어 전과자 되기도
지난 5월 1일 서부권역 덤프노동자 집회를 시작으로 4개월 만에 전격 노조 출범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현안에 김금철 덤프연대 신임 위원장에게 들어보았다.


조직화 과정은 어떠했나?


지난 5월 1일 과적관련법 개정을 요구하며 서부권역 덤프노동자들의 집회를 시작하면서 노조결성을 추진했다. 이후 민주노총 서울본부의 자문을 받아가면서 설립이 구체화되었고, 서울 서남권, 북부권과 인천권, 경기권 등에 지부를 설립하고 조직을 확대하면서 출범을 준비하게 됐다. 노조 출범 이후 부당한 과적단속 분쇄, 치솟는 기름값, 유류비 보조, 운반비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전국의 덤프노동자 조직화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노조결성까지 이렇게 빠른 탄력이 붙은 것은 현장의 불만이 그만큼 많았다는 것이지 않나?


이전에도 해마다 필요할 때면 모임들을 꾸렸고 실제로 노조 준비를 하기도 했지만 흐지부지 되고 말았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갈데가 없다, 가만히 앉아 죽을 수는 없다는 마음으로 노조결성 순간까지 온 것이다.


건교부에 요구하는 현안 중 현장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느끼는 문제는 무엇인가?


과적문제다. 과적단속에 걸리면 차량 운전자에게만 약 200만 원의 벌금이 부과되고 여러 번 단속에 걸려 전과자가 되는 경우도 많다. 덤프기사들은 화물이나 레미콘기사들처럼 운반 횟수로 돈을 받는 것이 하니라 ‘일당제’로 받고 있기 때문에 운반 횟수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과적을 하게 되면 연료가 더 많이 소모되고 차량 수명도 짧아지기 때문에 지입차주인 덤프기사들은 이를 원치 않는다. 그런데도 화주의 과적을 강요받으면 어쩔 수 없이 과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리는 과적이 이뤄지지 않도록 화주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과적을 하면 화주도 처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 외에도 우리는 경유값 보조금 지급, 운반비 현실화 등도 주되게 요구하고 있다. 일당이 하루 30만원이라고는 하지만 기름값이 하루에 15만원 이상 들어가고 차 유지비와 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나면 사실상 하루에 5~7만원 정도 가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게다가 기름값은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지 않나?


이후 계획을 듣고 싶다.


세 가지 주 현안에 대해 간부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구체적인 투쟁계획을 낼 것이다. 워낙에 급하게 왔고 그래서 미흡한 부분도 많지만 더 이상 물러설 곳 없다는 조합원들의 결의가 절박한 만큼 그에 걸맞는 투쟁들이 나올 것이다.


덤프노동자들도 일명 특수고용직 비정규 노동자들이다. 이번 정부 비정규개악안에 대한 평가는 어떤가?


우리의 현장, 노동자에 대한 부당한 공격을 하는 법안이라는 것을 대부분 알고있다. 더 알아가고 연대하면서 싸워나가겠다.
태그

덤프연대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최하은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