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주)코오롱은 이달 3일부터 7일까지 연봉제 사원 대상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데 이어 비연봉제 사원에 대한 인력조정 방침을 밝혔다. 2차 구조조정의 대상은 구미공장 노조원 1천470여 명과 경산과 김천의 공제회 회원 600여 명을 포함하는 그야말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이다.
![]() |
이에 민주노총, 화학섬유연맹, 코오롱노조와 함께 비상대책팀을 구성하고 코오롱 노조의 2차 구조조정에 공동 대응 할 것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화학섬유연맹, 코오롱노조는 21일 오전 11시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코오롱 자본은 부실경영, 경영위기로 인한 구조조정 음모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코오롱노조는 “코오롱그룹의 현 위기사태는 그룹경영 폐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규정하고 그 근거로 △코오롱캐피탈 기업자금 횡령 사건 △주)코오롱이 지분율 47%를 출자했던 HBC코오롱의 70% 자본 잠식 △무분별한 벤처기업 주식투자의 반복된 실패 △2004년 상반기부터 진행된 N/F 생산팀 기계철거 수주 관련 비리 △9월 24일 코오롱 건설, 코오롱노조가 발표한 코오롱그룹의 473억 공금 횡령 등을 들었다.
코오롱노조는 “노동조합이 그간 60일간 파업 중 무노동무임금을 감수하고, 위원장 해고와 간부들의 징계, 구속을 인정하면서도 파업을 종료하는 결단을 내렸음에도 회사는 또다시 경영 악화를 이유로 정리해고를 단행하려 하고 있다”고 규탄하고 “지금 현재까지도 구미공장에서 진행된 구조조정은 이미 그 규모나 인력면에서 한계를 넘어섰다는 것을 회사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 아니었던가?”라며 회사의 재구조조정 입장을 비판했다.
코오롱노조는 “비리경영진의 즉각 퇴진과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사 전사적 특별기구’를 운영할 것과 그룹 최고 총수의 개인재산 사재 출현 등 모든 가시적 노력과 조치를 선행할 것”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코오롱노조 조합원 70여 명은 노동부와 과천 코오롱 본사 항의집회를 진행하고, 이후 투쟁 일정을 정리하기로 하였다. 한편 코오롱노조는 민주노총과 함께 코오롱 노조의 부실 비리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사를 통해 좀더 객관적인 자료들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1월 중 기자회견을 갖는 등 민주노총과 화학섬유연맹 차원의 대응을 마련해 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