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보건포럼2005 : 아태지역 의료시장화와 민중의 대안' 개막

"미국이 퍼뜨리는 전염병에 대한 백신을 만들어내자"


APEC 정상회의 개막을 앞둔 11일,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보건의료 관련 활동가들과 진보적 지식인들이 참여하는 국제보건포럼이 시작됐다.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이 주관하는 이번 ‘아시아보건포럼2005’ 행사는 ‘아태지역의 의료시장화와 민중의 대안’이란 주제로 3일 동안 △아태지역의 의료시장화의 현실 △WTO/FTA가 아태지역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라크 전쟁이 이라크민중의 건강에 미친 영향 △아태지역의 의약품 접근권 등 다양한 쟁점들을 중심으로 강연회와 토론회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이라크, 중국, 미국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건의료 관련 활동가 9명이 해외초청연사로 대거 참석했다. 미국 내에서 전국민의료보험제 도입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PNHP(Physicians for National Health Program:국민건강보험을 위한 의사들)의 힘멜스타인(David U. Himmelstein) 교수를 비롯해 반세계화 운동 단체인 ‘남반부포커스’(Focus on the Global South) 블라르(Nicola Bullard) 사무총장, 이라크 현지에서 인도적 구호활동가 반전평화활동을 벌여 온 ‘이라크를 위한 의사들’(‘Doctors for Iraq Society')의 이스마엘(Salam Ismnael) 사무총장 등이 이번 포럼에서 열띤 토론과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조홍준 의료연대회의 정책위원장을 비롯해 임준 노동건강연대 공동대표와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국장 등이 연사로 나선다.

힘멜스타인 대표는 “이번 포럼을 통해 미국이라는 한 국가가 전 세계에 전염병을 어떻게 유포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폭로할 것”이라며 “이번 포럼이 미국이 퍼뜨리는 전염병에 대한 백신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범 보건의료단체연합 공동대표는 12일 개막연설을 통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의료시장화와 양극화 문제를 지적하며, “이번 포럼에서는 아펙회담에서는 결코 논의되지 않을 물, 생필품,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그리고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권에 대한 모든 차별적 장벽에 대해 어떻게 맞서 싸울 것인지를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보건의료인들과 진지하게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번 ‘아시아보건포럼2005’ 의미를 짚었다.

'아시아보건포럼2005' 주요 의제

11월11일
-개막식
-영리병원과 민간 의료보험, 과연 대안인가

11월 12일
-분쟁을 넘어, 국경을 넘어
-세계화(시대), 이주 노동자의 삶과 건강
-베트남평화의료연대 활동 및 평화를 위한 의료 지원 활동 모색
-미국 의료에 대한 이해와 오해
-이라크 의사의 증언 “이라크에 군대가 아니라 의약품을”
-WTO 10년 : 아태 지역의 민중의 건강에 끼친 영향

1월 13일
-WTO/FTA와 의약품 접근권
-APEC 2005와 WTO, 무엇을 노리는가
-Health for all Now! 모두의 건강을 위한 민중적 대안
태그

영리법인 , 보건의료단체연합 , 아시아보건포럼 , 제주특별자치도법 , 의료보장체계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김삼권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