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노무현 대통령은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26일 국가인권위원회가 조사 결과 두 농민의 사망 원인이 '경찰의 과격진압'에 있다고 발표하자 오늘 오전 허준영 경찰청장이 사과 발언을 한 데 이어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시위 농민 사망 사건과 관련,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사죄 드린다"고 밝히고, "책임자를 가려내서 책임을 지우고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국가가 배상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번 더 다짐하고 교육을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는 농민과 범대위가 요구해온 사죄의 의미를 충분히 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무현 대통령은 사과 발언 후 허준영 경찰청장의 책임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허준영 경찰청장 책임 묻느냐 전에 대통령이 제도상 경찰청장에 대해 문책인사를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나 권한을 갖고 있는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여러분은 제도를 어떻게 보고 있나. 대통령이 내가 해석하기론 문책인사를 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나머지는 정치적인 문제다"라며 발을 빼는 태도를 취했다.
더군다나 노무현 대통령은 "쇠파이프를 마구 휘두르는 폭력 시위가 없었다면 이런 사고 없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시민 사회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하고 "정부도 이 점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것"이라고 덧붙여 두 농민의 죽음에 대한 사과의 진정성을 의심케 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기자회견 이후 정광훈 범대위 공동대표는 "사과가 아니라 사죄를 해야 하는데 용납할 수 없는 기자회견이다"라고 말하고 "두 농민의 죽음은 보통 시위에서 다친 문제가 아니라 일방적인 선제공격에 의해, 국민을 상대로 벌인 공권력의 범죄 행위에 의한 것으로 실수가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광훈 공동대표는 "오늘 오후 범대위 회의를 통해 이후 투쟁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며, "우리는 끝까지 투쟁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범대위는 노무현 대통령의 사과 발표 이전인 오전에 허준영 경찰청장의 사과 성명이 진정성이 없는 사과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범대위는 "경찰청장 파면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고 전용철 홍덕표 두 농민의 장례를 치르지 않을 것이며 오는 30일 범국민대회를 개최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