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의 총파업이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철도 노사는 총파업을 앞두고 교섭을 이어갔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상황이다.
철도노조의 총파업을 하루 앞둔 27일 오후 2시, 철도 노사는 13차 본교섭을 진행했다. 교섭대표 발언에서 김영훈 철도노조 위원장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실질적인 교섭에 임해 줄 것”을 당부했으며, 이철 철도공사 사장은 “사회적 파장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본교섭이 진행되는 내내 사측은 “공감하는 면이 많으나 사회적 여건이 성숙되지 않아 합의 문안은 어렵다”는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교섭에서 사측은 ‘노조전임자 축소안’을 제안하기도 해 교섭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13차 본교섭이 자정이 넘어서까지 이루어졌지만 합의안은 도출되지 않았고, 28일 오전 10시에 다시 교섭이 진행될 예정이다.
![]() |
김영훈 위원장, “공공성이냐 상업화냐 기로에 서있다”
이에 철도노조는 총파업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있다. 28일, 철도노조는 위원장 담화문을 통해 “우리는 철도 상업화 반대와 공공성을 지켜 낼 것인가 아니면 저들에게 이윤추구의 장으로 철도를 내 줄 것이냐 하는 중차대한 기로에 섰다. 또 자구책이란 미명하에 철도노동자를 쥐어짜는 구조조정을 막아낼 것인가 내버려 둘 것인가에 서있다”고 밝히고 총파업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호소했다.
이어 정부가 ‘해고자 복직 요구’를 걸 경우 불법파업임을 밝히고 있는 상황에서 김영훈 철도노조 위원장은 “정부도 자신의 정책실패를 인정한 마당에 그 과정에서 희생된 우리의 동지들을 복직시키지 못하겠다는 공사 측의 논리에 우리는 동의할 수 없다”며 해고자 복직 문제를 끝까지 요구할 것을 밝혔다. 또한 KTX 여성무원의 고용안정과 정규직화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김영훈 위원장은 “총파업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지방본부와 지부쟁대위의 지침에 따라 단 한 명의 낙오자도 없이 총파업 전야제 장소로 이동해 줄 것”을 밝혔다. 철도노조는 28일 저녁, 5개 권역(서울, 부산, 영주, 대전, 순천)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