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건설노조의 파업과 관련 구속, 수배, 체포되는 노동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이 22일 오전 10시 광화문 열린시민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노무현 정부는 올해 대구지역건설노조의 파업에 28명, 포항지역건설노조 파업에 66명을 구속하고, 건설노조 간부 뿐 아니라 민주노총 지도부에 대해서도 무차별적으로 소환장을 발부하고 있다. 21일 오전 7시 30분 경에는 수원지방검찰청 수사관들이 건설산업연맹 경기도건설산업노조 전현직 간부 10여 명을 체포하려고 시도해, 그 중 3명을 긴급 체포했다.
민주노총 집계에 따르면 2005년 울산건설플랜트 파업시 47명 구속에 이어, 2006년 117명(대구 28명, 포항 66명, 타워 6명, 덤프 16명, 경기서부 1명) 구속으로 2년 사이 건설노조 파업과 현장활동에 대한 검찰의 구속자 수가 164명, 현재 구속자만도 90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건설노동자들에 대한 이러한 구속이 대전, 천안, 경기서부건설노조의 사례에서 보듯 '노동조합 죽이기'의 공안탄압인 경우가 많아 더욱 심각하며, 이는 이미 ILO에 제소되어 탄압 중단 권고가 내려진 사항이기도 하다.
조준호 민주노총 위원장 소환장 발부, 최은민 부위원장 구속중
민주노총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금 노무현정부는 건설노조를 아예 없애버리겠다는 듯 무섭게 달려들고 있다"면서 "노동자들을 학살하면서 정권을 유지해야 한다면 차라리 정권을 내놓는 것이 순리"라고 밝혔다.
한편, 경찰이 "집회시 최루액 사용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평화적 집회에 경찰이 난입해 방패로 찍어 하중근 조합원을 사망하게 하고 임산부를 폭행해 유산시키는 상황에서 반성하기는커녕 진압의 강도를 더 높이겠다는 것은 오만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현재 민주노총 임원과 지도부 중에서는 조준호 위원장, 김태일 사무총장, 허영구 부위원장에게 소환장이 발부된 상태이며, 최은민 부위원장, 김정근 조직실장, 김동우 조직국장, 채근식 편집국장 등은 포항지역건설노조 관련 투쟁 도중 연행돼 구속영장이 발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