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일인 12월 1일, 전국에서 총파업 출정식이 개최됐다. |
전국운송하역노동조합 화물연대 조합원 1만2천여 명이 1일 새벽 4시를 기해 일제히 전면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은 이날 지부별로 의왕ICD(내륙컨테이너기지), 광주 하남공단, 창원 중앙공원, 인천 백주년기념탑, 군산시청, 광양항 등 전국 14개 지역에서 출정식을 갖고 총파업 개시를 선언했다.
화물연대는 오늘 총파업 출정식을 통해 △투쟁본부의 지침에 따라 지부별로 행동에 돌입할 것 △개인행동 금지 및 경찰과 사측 접촉 금지 등의 지침을 전달하고 '노동기본권 쟁취'와 '운임제도 개선' 등 요구사항 관철을 위한 총파업 채비에 나섰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일제히 운송을 중단함에 따라 부산항을 포함한 주요 물류 거점들의 물동량이 감소하는 등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물연대에서 자체 파악한 바에 따르면 부산항의 경우 장거리 운행 차량들은 전부 운송을 중단했고 광양항은 물류가 거의 마비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인ICD도 운송량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주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대형 화물차 운전자로 구성돼 있고, 여기에 비조합원들의 동조 움직임도 엿보여 향후 파업의 파급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
![]() |
▲ 화물연대 서경지부가 출정식을 개최한 장소인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 주변에 총파업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
경찰청은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불법행위 엄정대처' 방침을 정하고 컨테이너기지, 부두, 화물 톨게이트 등 주요 물류거점에 경찰을 배치했으나 총파업 첫날인 오늘, 전국적으로 충돌이 일어난 지역은 없었다.
그동안 화물연대는 총파업 요구사항인 표준요율제와 주선료상한제 도입과 관련해 주로 열린우리당 등에 제도개선을 요구해 왔으나, 공정거래위원회나 물류협회, 산자부 등의 입장을 전달하며 애매한 태도를 취해왔던 건설교통부가 '불가'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보다 분명히 대정부 투쟁에 임하게 될 전망이다. 이는 이춘희 건교부 신임 차관이 11월 30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질의에서 "타 관계부처는 물론이고 건교부도 표준요율제에 대해 분명히 반대한다"고 공언한 데 따른 것이다.
화물연대 총파업의 주요 요구인 운임제도 개선과 관련해, 관련법인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 법률안 심의가 5일 국회 법안심사소위, 6일 건교위 전원회의에서 다뤄질 예정인 만큼, 화물연대는 이를 감안해 주말 동안 조직을 정비하고 다음 주 초 본격적인 파업투쟁에 들어갈 예정이다.
![]() |
▲ 의왕ICD를 오가는 대형 컨테이너 차량이 화물연대 파업으로 절반 가량 줄어 도로가 한산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