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회사, LS산전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난다는 경칩이었지만 봄을 잊게 만드는 차가운 바람이 분 6일, 그 바람을 뚫고 거리에 선 노동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LS산전이라는 큰 회사에 다니는 사무직 노동자다.
![]() |
LS산전은 작년 매출액이 1조 2051억 원, 순이익만 995억 원에 달하는 잘 나가는 기업이다. 증권회사들은 LS산전의 영업이익이 사상최대를 기록할 것이라며 우량주로 적극 추천했다. 이유는 전동공구 사업 매각과 신규사업을 통해 사업구조가 개선되고 있고, 지속적인 구조조정 성과로 재무구조도 좋아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신용평가도 나서서 LS산전 회사채의 신용등급을 'A'(안정적)로 평가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거리로 나선 13명의 노동자들
회사는 끝없이 성장하고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지만 13명의 노동자들은 거리로 쫓겨났다. 우량주의 근거가 되었던 매각된 공구사업팀에서 일하던 13명의 사무직 노동자들은 2월 1일 회사에 출근해서야 자신이 해고되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억울했다. 그래서 그들은 LS산전 부당해고자 복직위원회(복직위원회)를 만들고 6일, LS산전 본사가 위치한 서울역 앞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 앞에서 싸움을 시작했다.
그들은 처음해보는 어색한 팔뚝질로 “부당해고 철회하라! 원직복직 쟁취하자!”를 외쳤다. 김천석 복직위원회 위원장은 “1월 31일자로 해고되었는데 해고 사실을 전혀 몰랐다. 2월 1일 출근해서 컴퓨터를 켜니까 네트워크가 차단되어 있더라. 그래서 해고사실을 확인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그랬더니 인사담당 사람들이 와서 해고통지서를 나눠 줬다”라고 해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흑자에 성과급까지 주면서 경영상 이유?“
![]() |
이유는 “경영상의 이유”였다. 이에 대해 김천석 위원장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회사는 흑자를 내고 있으며, 직원들에게 성과급까지 줬다. 이런 상황에서 경영상의 이유라는 것이 납득이 되는가”라고 분노했다.
이에 대해 구동훈 민주노총 서울본부 법규차장은 “근로기준법 31조 정리해고 관련 법안을 위반했다”라며 “근로기준법 상 정리해고는 사측이 정리해고 전에 신규채용중단, 근로시간조정, 임원임금삭감, 배치전환 등 해고회피노력을 해야 하는데 LS산전은 이를 이행 하지 않았으며, 같은 부서에서 일했던 생산직 노동자들은 모두 배치전환 된 것에 반해 사무직이라는 이유로 정리해고 한 것은 고용보장의 형평성에도 어긋 난다”라고 지적했다.
13명의 노동자가 이해할 수 없었던 “경영상의 이유”라는 해고사유에 대해서도 구동훈 법규차장은 “LS산전의 경영실적은 최대다라고 예측될 정도로 좋은데 이는 정리해고의 근거로 근로기준법상에서 제시하고 있는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에 해당될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LS산전 관계자는 “회사는 정당한 절차를 거쳐 진행한 것”이라고 전했다.
"억울하고 섭섭해... 원하는 건 원직복직“
부당해고에 맞서 6일부터 싸움을 시작한 13명의 새내기(!) 노동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선전전과 집회를 통해 사측의 원직복직을 요구할 계획이며, 회사 앞을 지나가는 동료들에게도 자신들의 억울한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또한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도 할 예정이다.
![]() |
하지만 벌써부터 그들은 난관에 봉착했다. 사측에서 8일 이후에는 본사건물 앞에 집회신고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1인 시위로 억울함을 호소할 계획이다.
김천석 위원장은 사측에게 “다들 10년, 20년 정말 열심히 일 했는데, 결국 돌아온 것은 해고라니... 너무나 억울하고 섭섭하기까지 하다”라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원직복직 밖에 없다. 끝까지 싸울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함께 싸움을 시작한 동지들(!)에게 “처음이고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지만 가슴 속에서 우러나는 마음으로 함께 정말 열심히 하고 있다”라며 “끝까지 한 마음이 돼서 싸웠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