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자유는 누가 침해했을까?

차베스 “RCTV 계약연장은 없다”

베네수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영TV인 RCTV가 5월 27일로 계약만료가 되어 더 이상 방송을 할 수 없게 된다.

차베스 대통령은 RCTV의 계약 연장은 없을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대법원에서도 17일 적법한 초지라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RCTV를 비롯한 국제 주요 언론들은 일제히 ‘검열’이라며 차베스 정부를 비난하고 나섰다.

RCTV, 2002년 반동 쿠데타 지지
“아무것도 방송하지 말라”...만화, 영화 방영해


1953년에 설립된 RCTV는 베네수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영TV로, 1999년 차베스 집권 당시부터 적대감을 공공연하게 표시해왔다.

심지어 2002년 반동 쿠데타가 발생했을 때 민주적으로 선출된 차베스 정부를 뒤엎는 반동 쿠데타를 지지하기도 했다.

당시 RCTV에 근무했던 안드레트 이자라는 의회에서 회장인 마르셀 그레이너가 “차베스와 추종자, 각료들 그리고 그 외 관련된 사람에 대한 어떤 정보도 방송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베네수엘라 국민들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RCTV는 2002년 반동 쿠데타뿐만 아니라 차베스 정권을 전복시키려는 시도였던 국민소환투표를 비롯한 12번의 국민투표과정에서 RCTV의 역할들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RCTV는 차베스가 반동 쿠데타가 벌어진 당시 대통령을 복귀했던 2002년 4월 14일에는 영화와 만화를 방영해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해 비난을 받기 도 했다.

'검열'인가, '적법한 조치'인가?
차베스,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것은 RCTV"


RCTV가 반발하고 나선 것에 대해 윌리엄 라라 정보통신부 장관은 “2002년 쿠데타 당시 RCTV가 했던 결정적인 역할을 기억해야 한다”며 “무책임한 태도는 바뀌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말에는 차베스 반대파 수천 명이 RCTV의 계약해지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마르셀 그레이너는 RCTV의 계약 해지가 “불법적이고,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표현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차베스 대통령을 비난했다.

RCTV의 회장인 마르셀 그레이너는 미디어 재벌로 40개의 라디오 및 TV 채널을 소유하고 있다.

차베스 대통령은 베네수엘라의 네 개의 주요 민간 텔레비전 채널(Globovisión, Televen, Venevisión and RCTV)이 90퍼센트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독점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이 민간 미디어들은 미디어의 힘을 이용해 21세기 사회주의를 위한 혁명을 교란하는 “심리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차베스 대통령은 오히려 “훌륭한 저널리즘과 언론의 자유는 RCTV가 침해했다”며 RCTV를 비난했다.

전파는 모두의 것

베네수엘라 정부는 RCTV가 공공재인 전파를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계약을 해지한다는 입장을 지난 2월부터 공개적으로 표명해왔다.

그 동안 RCTV는 2002년 반동 쿠데타를 지지해 왔을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관한 책임 법률을 650여개 위반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그 동안 RCTV에서 사용해왔던 전파가 전국 곳곳까지 가장 강력한 전파가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전파를 “미디어 독점 재벌”이 아닌 전체 민중을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14일 발표에 따르면 TEVES가 RCTV를 대체하게 된다.

사회적 방송을 표방하는 TEVES를 통해서는 독립 생산자들이 만든 프로그램이 방송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베네수엘라에는 정부 방송채널은 있었지만, 공공적 채널은 없었다. 따라서 TEVES가 첫 공영방송이 된다. 초기에 TEVES는 정부 재정이 지원될 예정이지만,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독립재정 구조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통신부 관계자는 밝혔다.

베네수엘라 법은 '전파는 국가의 소유이며, 국가는 이를 양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태그

미디어 , 베네수엘라 , rctv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변정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감격

    차베스, 정말 대단한 지도자, 훌륭합니다.

  • 민중의 힘

    그동안의 쿠데타를 막아내고, 차베스를 그 자리에 있게한 민중들이 더 대단하죠.
    베네수엘라 민중들 정말 훌륭합니다.

  • 재앙

    포퓰리즘이 어디까지 갈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차베스.. 대단하긴 하다. 민주정치의 반면교사라 할수 있다.

  • 뭐가 포퓰리즘?

    근거를 대주세요. 쉽게 단정하지 말고..

  • 독자



    저는 국가주도의 혁명아닌 혁명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파는 공공재이기 때문에 이러한 취지에 어긋날 경우 충분히 재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베네수엘라의 경우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그러한 합의과정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국가권력을 잡은 세력이 군대 등을 동원하여 나름대로 많은 사람들이 지지하는 방송국을 폐쇄하는 것은 상대적 약자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기사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212289.html]


    차베스의 ‘언론탄압’인가, ‘정치언론 업보’인가
    차베스, 시청률 1위 ‘반차베스’ 방송사 폐쇄
    ‘편향언론 심판’-‘표현자유 침해’ 연일 찬반시위


    한겨레 김순배 기자


    차베스의 언론 탄압’인가, ‘정도를 벗어난 편향언론의 업보’인가.


    ‘중남미 반미·좌파 기수’ 우고 차베스 대통령에게 세계의 시선이 다시 쏠리고 있다. 그가 베네수엘라 시청률 1위의 민영방송인 <라디오 카라카스 텔레비전>(RCTV)을 문닫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지난 1953년 설립된 이 방송은 방송 허가권을 갱신받지 못하자 27일 자정 고별방송을 내보내고 문을 닫았다고 일간 <엘나시오날> 등 현지 언론이 전했다.


    26~27일 수도 카라카스 등에선 수천여명씩의 군중들이 방송국 폐쇄를 둘러싸고 찬반시위를 벌였다. 군대는 방송국 주요시설을 압수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압수한 RCTV의 장비를 이용해 사회주의 혁명을 선전하는 관영 <베네수엘라 사회주의 방송>(TVes)를 내보내기 시작했다.


    정치 언론?=RCTV와 지지자들은 ‘언론자유’ 침해라고 비난하고 있다. RCTV 소유주 마르셀 그라니에르는 “전체주의 국가로 향하고 있다”며 “자유를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지난달 말 여론조사회사 다타날리시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0%가 차베스 대통령의 방송국 폐쇄 방침에 반대했다.


    차베스 대통령과 지지자들은 ‘정치언론에 대한 정당한 심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차베스 대통령은 지나친 폭력과 음란물 방송이 “국가에 위협이 됐다”고 주장했다.


    좌파 사회주의 혁명을 부르짖는 차베스 대통령과 보수 우익 RCTV의 극단적 충돌은 예고돼왔다. 이는 차베스 대통령이 RCTV의 인기 멜로드라마에 대해 자본주의를 부추기는 ‘독성물질’이라고 비판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특히 2002년 4월 반차베스 쿠데타 당시, RCTV는 차베스 대통령의 거짓 사임발표문을 단독 보도하는 등 꾸준히 반차베스적 정치언론의 길을 걸었다.


    이 때문에 “언론탄압”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RCTV의 주장은 ‘악어의 눈물’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방송 폐쇄 지지자들이 “새로운 사회주의 방송 탄생”이라고 환영한 것은 사태의 배경에 차베스 노선에 대한 정치적 논란이 깔려 있음을 보여준다.


    언론 길들이기 강화=차베스 대통령은 그동안 언론통제를 서서히 강화해왔다. 친미·친자본주의 성향의 거대 재벌들이 장악한 적대적 언론환경 속에서 자신이 추진해온 ‘21세기 사회주의 개혁’에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다. 차베스 대통령 첫 당선 때 관영 텔레비전은 1곳, 라디오 방송국은 2곳이었지만 이제 각각 4곳과 7곳으로 늘어났다고 <뉴욕타임스>가 27일 보도했다.


    또 친정부 신문에는 다른 곳에 비해 12배나 많은 정부광고를 배정하면서‘언론 길들이기’를 해왔다. 이번에 허가권을 갱신받은 텔레비전 방송 <베네비전>이 2004년 이후 비판적 보도를 하지 않는 등 언론들의 ‘순응’도 두드러진다.


    차베스 대통령은 이미 지난 1월 의회 승인없이 포고령만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사가 어떤 이유에서든 문을 닫음으로써 차베스의 독주는 가속화할 전망이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참고기사2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3&article_id=0000433001§ion_id=104&menu_id=104]


    베네수엘라, RCTV 폐쇄 이어 글로비전 조사 지시…언론통제 확대 우려


    뉴시스 | 기사입력 2007-05-29 10:40


    베네수엘라가 대표적 야당 성향 방송인 라디오 카라카스TV(RCTV)에 강제 폐쇄 조치를 내린지 수시간만에 또다른 야당 성향 방송국인 글로비전에 대해 우고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암살을 선동했다는 혐의로 조사를 지시해 베네수엘라의 언론 통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우려를 부르고 있다.


    RCTV는 차베스 대통령이 면허 갱신을 거부함에 따라 27일 밤 고별 방송을 하고 폐쇄됐으며 베네수엘라는 RCTV 대신 새 국영방송을 세워 정부 시책을 홍보하는 방송을 시작했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한 국제사회와 야당 진영의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RCTV 등 야당 성향 방송을 지지하는 시위대의 항의 시위도 격화되고 있고 곳곳에서 진압경찰과 충돌을 빚고 있다. 경찰은 28일 시위대 해산을 위해 최루가스를 발사했다.


    이런 가운데 윌란 라라 공보장관은 28일 글로비전 방송이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암살을 선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공보부 전문가들에 의해 포착됐다며 검찰 당국에 조사를 의뢰했다.


    라라 장관은 글로비전이 RCTV 폐쇄에 대한 특집 프로그램으로 그동안 RCTV의 주요 방송을 소개하면서 지난 1981년 요한 바오로 2세 당시 교황에 대한 암살 기도 장면과 함께 '이 일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는다'(This Does Not Stop Here)라는 음악을 내보낸 것을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암살 선동 증거로 제시했다. 이 노래는 현재 파나마 관광장관인 루벤 블레이즈가 부른 것이다.


    라라 장관은 공보부 전문가들은 이는 글로비전이 차베스 대통령에 대한 암살을 선동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글로비전측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아직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글로비전의 한 기자는 교황 암살 장면에 블레이즈의 노래가 함께 나간 것은 RCTV의 방송을 그대로 내보낸 것일뿐이라고 말했다.


    '국경 없는 기자회' 미주 지국장인 베노이트 허비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차베스 대통령에 비판적인 보도를 해온 RCTV가 폐쇄된 지금 차베스 정부를 비판할 수 있는 TV는 이제 글로비전뿐이라고 말했다.


    차베스는 지난 1999년 대통령 취임 이후 사법권과 군부, 석유산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베네수엘라 야당 세력들은 차베스 대통령이 쿠바식 체제를 만들어나가는데 대항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독립이 필수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RCTV는 폐쇄됐고 글로비전은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의 조사에 직면하게 됐다.


    유세진기자 dbtpwl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