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사는 합의문에서 '노·사·공익' 각 2인으로 구성된 6인의 협의체를 1주일 이내에 만들기로 했으며, 1개월 동안 KTX-새마을호 승무원 문제를 논의해 이의 결론에 따르기로 했다. 1개월 간 운영키로 한 이 협의체에 '1개월 이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고 정한 단서조항이 붙어, 사실상 KTX-새마을호 승무원 문제가 2개월 안에 어떤 형식으로든 매듭을 짓게 될 것으로 보인다.
![]() |
▲ 이상수 노동부 장관, 엄길용 철도노조 위원장, 이철 철도공사 사장,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이 28일 합의문을 발표한 뒤 손을 모았다. |
당초 노동부가 오후 5시 30분에 '합의된 내용'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으나, 막판 조율이 쉽지 않아 정작 이같은 합의문이 발표된 시간은 밤 10시 경이었다. 논의가 진통을 겪는 동안 "승무원들을 자회사 정규직화하기로 합의했다"는 등의 '오보'도 속출했다.
이철 철도공사 사장은 합의문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완결된 내용은 아니지만 진전된 합의문을 발표하게 돼 뿌듯하다"는 소감을 밝혔다. 이후 이철 사장과 엄길용 위원장이 합의사항을 번갈아 낭독하는 것으로 짤막한 기자회견을 마쳤다.
노조 의견 소수화 위험... 공익위원 구성에 관심 쏠릴 듯
이번 합의에 따르면 이 협의체에서 논의한 결과대로 KTX-새마을호 승무원 문제의 향방이 갈리게 되므로, 구성 인자와 논의 내용 등이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협의체에선 주로 승무업무 외주화의 적절성 혹은 승무원 직접고용의 필요성을 놓고 논박을 벌이게 될 전망이다.
이 협의체가 승무업무 외주화를 타당하다 판단하면 파업중인 승무원들이 줄곧 거부 의사를 밝혀 온 자회사(코레일투어서비스, 구 KTX관광레저) 채용을 받아들여야 하는 셈이라 노조로서는 위험부담이 있다.
더구나 이 협의체에서 "다수 의견이 모아지면 그 의견에 반드시 따르도록 하는 것"이라는 이상수 장관의 공언과 노조 측의 인정도 있었던 만큼 노·사·공익 3자의 협의에서 노조 측이 소수가 되어 그동안의 주장(직접고용)을 관철시키지 못하게 될 공산이 크다. 게다가 공익위원은 노동부 장관이 지명하도록 돼 있다.
그간 이상수 장관이 "KTX승무원들을 직접고용하는 것이 맞겠다"는 발언을 공공연히 해온 것을 미루어 노동부 장관이 추천하는 공익위원에게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그러나 지난 6월 발표된 '공공부문 비정규직 종합대책'에서 KTX승무원 문제가 '재경부와 건교부의 완강한 반대'를 구실로 누락된 점을 볼 때 노조로썬 노동부 장관의 의지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만은 없어 공익위원들과의 협의도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1년 7개월 동안 여성 비정규직 문제와 간접고용 비정규직 문제를 알리며 사회적으로 주목받아온 KTX승무원 문제가 1-2개월 후 어떻게 결론이 날 지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KTX-새마을호 전 승무원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서
철도 노사는 KTX-새마을호 전 승무원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노·사·공익 3자협의체(이하 "협의체"라 한다)를 구성하여 그 논의 결과에 따르기로 하고,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1. 협의체는 노·사·공익 각 2인으로 구성하되, 공익위원은 노동부장관이 지명한다.
2. 협의체는 이 합의일로부터 1주일 이내에 구성한다.
3. 협의체는 구성 후 첫 회의일로부터 1개월 동안 운영하며, 전원 합의에 의하여 1개월 이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
4. 협의체는 그 논의 결과 다수의견을 제시하여야 한다.
2007. 9. 28.
전국철도노동조합 위원장 엄길용
한국철도공사 사장 이철
<입회인>
민주노총 위원장 이석행
노동부장관 이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