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육중한 동체의 비행기가 굉음을 내며 활주로를 쉴새없이 오르내리는 제주국제공항, 4ㆍ3 당시 참상을 증언하듯 형체조차 제대로 알 수 없는 유해들이 두겹 세겹 뒤엉키고, 바스라진 채 그 모습을 드러냈다.
4ㆍ3 당시 제주도내 최대의 학살터로 알려진 옛 정뜨르비행장(현 제주국제공항) 학살ㆍ암매장 추정 지역에서 완전유해(두개골 기준) 36구, 부분유해 737점, 유류품 75점이 확인됐다.
(사)제주4ㆍ3연구소와 제주대학교는 14일 제주국제공항 내 4ㆍ3희생자 유해발굴현장에서 현장설명회를 갖고 발굴 현장을 공개했다.
![]() |
![]() |
학살 현장은 공항내 동-서 방향의 일자(一)모양으로 길이 32.4m, 너비 1.2~1.5m, 깊이 0.9~1.2m의 구덩이 형태다.
학살 현장으로 확인된 구덩이에서 상당수의 유해가 발견됐고, 당시 학살이 무차별적으로 이뤄진 상황을 뒷받침하듯 개체수를 확인하기 힘들만큼 뒤엉켜져 있다. 또, 탄두 및 탄피, 신발, 단추, 도장, 안경, 담배파이프 등의 유류품도 다수 발견됐다.
특히, 도장 등의 유류품 발굴은 희생자 신원확인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고, 당시 학살 정황을 증명하는 단서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발견된 도장은 ‘熙銓’(희전)과 ‘梁奉錫’(양봉석)이라고 새겨져 있었으며, 당시 대정국민학교 교사였던 김희전씨와 당시 19세의 의귀국민학교 교사인 양봉석씨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
발굴사업기간 연장 절실... 학살 현장 이전 복원 계획 시급
발굴팀은 당시 한 구덩이에서 일정 기간 간격을 두고 두 세차례 이상 학살과 암매장이 이뤄져 이중 삼중으로 유해가 묻혀 있고, 이와 같은 학살 암매장 구덩이가 3개는 더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음달 15일로 종료되는 사업기간 연장을 위해 한국공항공사 등 관계기관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발굴된 유해 매납구덩이가 당시 학살 암매장 실체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단서로써 4ㆍ3 평화공원 사료관 등으로 이전 복원하는 문제 등에 대한 방안 역시 하루 빨리 마련돼야 할 것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