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이영희 장관이 민주노총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민주노총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월, 이석행 위원장이 경찰의 출두요구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간담회를 일방파기 한 상황에서 장관이 민주노총에 들어올 수 없다고 결정하고 이석행 위원장이 노동부를 방문하는 방식으로 만남이 이뤄졌다.
이번 만남에서 이영희 신임 노동부 장관은 민주노총을 ‘강성노조’로 지칭하며 “강경한 노동운동은 경제 살리기에 걸림돌이다”라고 말하고, “지난 정권에서 기업들이 소외되어 있었다”, “파업과 집회는 권리이지만 법의 테두리 안에 있어야 한다”, “노동운동도 실용을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하는 등 현 정부의 노사관계에 대한 생각을 그대로 보여줬다.
이석행 위원장과 이영희 장관의 만남은 현 정부와 민주노총의 관계를 보여주듯 내내 냉랭한 분위기로 진행되었다.
![]() |
▲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과 이영희 신임 노동부 장관이 면담을 마치고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민주노총] |
이번 만남에서 이영희 장관이 ‘대화’와 ‘이해’ 강조하자 이석행 위원장은 “현재 민주노총은 노선변경(대화에서 투쟁)을 천명한 상태”라며 “장관이 아무리 노동자에 대해 우호적인 생각을 하더라도 실현될 가능성은 낮지 않은가”라고 응수했다. 이런 민주노총의 태도는 이명박 대통령이 민주노총과의 관계에 있어 근본적으로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석행 위원장은 “대통령과 내가 직접 만날 일은 없을 듯하니 국무회의 때 대통령에게 잘 전달하기 바란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영희 장관이 “민주노총이 조직률은 높지 않지만 운동적 파급력은 큰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강성노조로 인해 해외투자자가 난색을 표하는 등 강경한 노동운동은 경제 살리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노동운동도 역사적 산물인 만큼 시대변화에 따른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말하자 이석행 위원장은 “강성노조, 경제 걸림돌이라는 말로만 민주노총을 규정하지 말라”고 발끈하기도 했다. 이에 이영희 장관은 “노동운동의 올바른 발전을 위한 충정으로 이해해 달라”라고 답했다.
이영희 장관은 “민주화 운동 과정 속에서 법에 대해 경시하는 분위기가 생겼다”라며 이상한(?) 역사관을 보이기도 했다. 이어 이영희 장관은 “현 정부는 법과 원칙의 관철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라며 “파업과 집회는 권리지만 법의 테두리 안에 있어야 한다”라고 이명박 대통령의 기조와 같은 모습을 보였다. 이에 이석행 위원장은 “법과 원칙을 내세우기 전에 법이 만인에 평등한가 자문해야 한다”라며 “노동자에게는 가혹하고 기업에게는 관대한 것이 현실 아니냐”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석행 위원장은 "작년에도 민주노총은 한 번도 총파업을 하지 않는 등 많이 인내해 왔으나 정부로부터 배제 당해 현재 민주노총은 총력투쟁을 준비 중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이영희 노동부 장관은 어제(6일) 한국노총도 방문했다. 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기업의 임금인상을 자제하겠다는 것은 경제 살리기에 한국노총이 동참하겠다는 뜻”이라고 이영희 장관의 방문을 환영하자, 이영희 장관은 “한국노총의 운동방향은 장관이 되기 전부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했었다”라고 응답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