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KTX-새마을호 승무원, 기륭전자분회, 코스콤비정규직, 이랜드노조, 성신여대 청소용역 노동자 등 투쟁중인 비정규사업장 문제 해결을 위한 집중집회가 열렸다. 이들 노조들과 노동사회단체 회원들, 네티즌 등 시민들은 한가위를 앞두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정든 일터로 돌려보내자며 9일 저녁 7시부터 서울역 광장에서 '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 1차 행동의 날' 집회를 개최했다.
서울역 광장 계단을 가득 메운 5백여 명의 시민들은 촛불을 들고 "일터의 광우병, 비정규직 철폐하자", "비정규직 철폐하고 인간답게 살아보자", "노동탄압 중단하고 비정규직 철폐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투쟁중인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격려했다.
투쟁중인 비정규직 노조들의 대표로 발언에 나선 김영미 KTX지부 조합원은 "오늘 파업 940일차인데 처음에 시작할 땐 이토록 길고 처절할 줄 생각 못했다"라는 말로 운을 떼었다. 김영미 조합원은 "맨 처음 경찰과 충돌했을 때 기륭전자, 청소용역 노동자들과 함께 싸웠다"면서 "초라하고 외로운 싸움을 하다가 2006년 이랜드-뉴코아 투쟁을 보면서 우리처럼 외롭고 힘든 것 같아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또 "비정규직 노동자로, 여성 노동자로 산다는 것이 이렇게 힘들구나 하는 생각에 눈물도 많이 흘렸지만, 우리 투쟁이 옳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서 계속 투쟁한다"면서 "김소연 기륭분회장님이 90일째 단식 중인데도 해결 안된다는 것이 슬프지만 여기서 우리가 좌절할 순 없다"고 덧붙였다. 현재 KTX-새마을호 승무원들은 서울역 부근 40여 미터 높이의 조명 철탑 위에서 오늘로 14일째 고공농성을 진행중이다.
![]() |
▲ 9일 저녁 7시부터 서울역 광장에서 '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 1차 행동의 날' 집회가 열렸다 |
![]() |
실천불교승가회의 효진 스님은 '역행보살'이라는 불교 용어를 소개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오히려 감사하는 마음도 생긴다, 이 사람들 덕에 우리들의 아픈 곳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말해 시민들의 박수를 받았다. 효진 스님은 "얼마 전까지 이명박 물러가라고 외쳤는데 이제 더 크게 외치자, 우리 아픔이 전부 사라질 때까지 이명박과 어청수 퇴진 운동에 함께 하자"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시민 장동규 씨는 "촛불이 비정규직 노동자와 다릅니까? 비정규직 노동자가 요구하는 것이 촛불 시민들이 요구하는 것과 다릅니까?"라고 좌중에 물으면서 "우리 스스로 연대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르다'고 말한다"고 답했다. 장동규 씨는 "우리는 언제나 약자였지만 항상 연대하지 못했다"며 "오로지 연대만이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연설했다.
촛불 시민 3명이 '테러'를 당한 현장인 조계사에 다녀왔다는 홍희덕 민주노동당 의원은 "핏자욱이 남아 있는 처참한 현장을 보면서 이 정권이 국민을 얼마나 업신여기는지 절감했다"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보면서도 죄송스런 마음 뿐"이라고 말했다. 홍희덕 의원은 "이번 추석은 우리 노동자들에게 가장 힘든 명절이 될 것 같다"며 "끝까지 힘을 내자"고 격려했다.
![]() |
▲ 집회가 끝나고 인도를 따라 이동하는 사람들을 경찰이 막아서자 민주노동당 홍희덕 위원이 남대문 정보과장에게 막아선 이유를 묻고 있다 |
오후 8시 20분경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 해결 주장이 담긴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나누어 주는 선전전을 진행하며 인도를 통해 행진하려 했으나, 경찰 측이 깃발을 들고 이동하는 것을 막아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에 일부 시민들은 지하철을 통해 조계사로 이동하고, 또다른 시민들은 KTX-새마을호 승무원들이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조명 철탑을 찾아가 정리집회를 가졌다.
촛불집회에 참석한 이들은 이후에도 기륭전자분회 후원주점(10일), 2차 행동의 날, 비정규직 철폐 일만인 선언 등의 비정규직 철폐 행동을 이어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