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지켜줬더니, 경찰 동원해 장애인 막나"

인권 활동가들, "김양원 위원은 사퇴하라" 인권위 점거 농성


사회복지 시설 비리에 연루돼 자격 논란이 일고 있는 김양원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에 대한 장애인.인권 단체들의 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김양원 위원, 인권침해와 차별 중심에 서있던 인물"

인권단체연석회의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인권단체들은 27일 오후 서울 중구 무교동 인권위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양원 위원의 즉각 사퇴와 인권위의 공개인사검증 제도 도입 등을 촉구했다. 한편, 인권단체 활동가 10여 명은 인권위 건물 11층을 점거하고 농성에 돌입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권단체들은 "김양원 위원은 인권침해와 차별의 중심에 서있던 인물로서 인권위원직을 당장 사퇴하고,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해야 한다"고 거듭 김양원 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인권단체들은 이어 "김양원 위원은 시설비리와 인권침해 당사자"라며 "김 위원은 보호시설에 대해 방문조사와 진정권을 가진 유일한 국가기관으로서 시설생활인의 인권보호를 위해 제일 앞장서야 하는 인권위 위원으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신망애 복지재단의 설립자 김양원 목사의 반인권적 행태가 만천하에 드러났지만, 김양원 목사는 물론 청와대와 인권위는 김 목사에 대한 어떠한 입장 표명도 없고, 인권단체들의 문제제기를 모른 채 하고 있다"며 이번 사태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청와대와 인권위를 비판했다.

이어 이들은 이번과 같은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인권위원들을 선정함에 있어 공개적이고, 확실한 인사검증절차를 통해 임명되어야 하고, 이는 당연히 높은 인권감수성이 요구된다"고 강조하며 공개인사검증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정문을 경찰이 봉쇄하고 있다

인권위, 경찰에 시설보호 요청... "인권지킴이가 공권력 동원하나"

한편, 이날 기자회견이 있기 전 경찰은 인권위 건물 주변을 봉쇄하고, 휠체어 장애인 등을 특정해 출입 자체를 막아 거센 항의를 받았다. 경찰은 이날 인권위를 출입하는 대부분의 비장애인들의 출입은 막지 않았다.

이날 인권위 건물 13층에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진압과정에서 경찰의 인권 침해 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전원회의가 열렸고, 이 자리에는 김양원 위원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인권위 1층 현관을 비롯해 배움터와 회의실 등이 위치한 11~13층 마다 병력을 배치했고, 승강기는 아예 6층까지 밖에 운행되지 않았다. 이에 기자회견에 참석한 일부 장애인들은 "왜 장애인들이 화장실을 가는 것조차 막냐"며 격렬히 항의하며, 인권위 진입을 시도하기도 했다. 특히 이날 경찰의 인권위 봉쇄는 인권위 측의 시설보호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박영희 진보신당 공동대표는 "이명박 대통령이 인권위를 대통령 직속기구로 만들려고 할 때 장애인.인권단체들이 막았다"며 "인권사각 지대에서 인권지킴이 역할을 해야 할 인권위가 공권력을 동원해 장애인들을 막고 있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인권위 11층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했던 인권단체 활동가 10여 명은 토론회가 끝난 후 자리를 뜨지 않고, 곧바로 김양원 위원 사퇴를 촉구하는 농성에 돌입했다.

태그

인권위 , 장애인 , 김양원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김삼권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