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19일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정부교섭에 대해 설명했다. 임성규 민주노총 위원장은 "16일 노동자대회와 관련해 정부는 노동자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며 노정관계를 경색시키고 있다. 화가 많이 나 있지만 인내하며 대정부 교섭을 성사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 |
민주노총의 대정부교섭 요구는 임성규 위원장이 취임 후 밝힌 '사회연대전략'의 하나였다. 대정부 교섭 요구안에는 특수고용노동자 노동자성, 박종태열사, 구조조정 등 노동현안 문제뿐 아니라 실업급여 등의 전국민 고용안전망 보장 등의 내용도 담겨있다.
대정부 교섭 요구에 민주노총은 전국민 고용안정을 제기하며 실업급여 지급기간과 대상 확대, 청년 실업자와 영세자영업자에 대한 실업부조 도입, 고용안정특별법 제정 등을 담았다.
그러나 정부와 민주노총의 교섭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이영희 노동부장관은 18일 노동부 기자간담회에서 16일 노동자대회와 관련해 '민주노총의 유감표명'을 요구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에서 "국가브랜요드를 떨어뜨리는 세 가지 요인이 폭력시위와 노사분쟁, 북핵문제"라며 민주노총을 직접 겨냥했다.
민주노총도 교섭을 요구했지만 16일 노동자대회와 관련해 강경한 입장이다. 임성규 위원장은 "부상 경찰이 있다면 직접 병원에 방문할 의사도 있다. 그러나 어제(18일) 기자회견에서 16일 사태가 우발적으로 발생한 일이지만 유감의 뜻을 이미 밝혔다"며 노동부 장관의 사과 요구를 사실상 거절했다.
민주노총은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에도 논평을 통해 "국가브랜드 운운도 안타깝지만 국가브랜드를 떨어뜨린 것은 대통령 자신이다. '폭력시위, 노사분쟁, 북핵문제'를 '폭력연행, 반노동정책, 강경대북정책'으로 바꿔보라"며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대정부 교섭 요구와 함께 대정부 교섭단을 임성규 민주노총 위원장과 임원, 산별연맹과 지역본부 대표자로 구성했다. 민주노총은 19일 청와대 등에 교섭요구 서한을 전달하고 20일 부터 6월 9일까지 교섭촉구 기간을 가진다. 교섭추진 여부에 따라 민주노총은 6월 10일부터 대정부 집중 대중행동의 수위를 조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