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늘 문제는 민주당이 지역별 이해관계와 후보들을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10년 지방선거도 당대당 타결이 어려워졌다”며 “민주당도 중앙당이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통합진보당과 당대당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의지를 가지고 했으면 좋겠다”고 제안 취지를 설명했다.
통합진보당은 지난 15일 전국운영위에서 야권연대 협상 원칙으로 “야권연대 협상은 중앙당의 주도 아래 추진하고, 지역별 및 후보별 협의는 중앙당의 방침과 승인 하에 이뤄져야 한다”고 의결한 바 있다.
전국에서 야권연대 협상이 어떻게 열릴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중앙당이 전략적으로 협상을 진행해야 원활한 야권연대가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또 지난 지방선거나 보궐 선거 등에서 지역별 야권연대 협상이 깨지면서 한나라당에 야권이 패배한 전례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이정희 대표는 “통합진보당은 예비후보 자격심사를 신청할 때부터 야권연대와 관련된 중앙당의 방침에 따를 것을 서약하는 문서에 서명을 받고 시작한다”며 “민주당도 그 정도 결심이 있어야 한다. 민주당의 내부경선은 (저희와 같은) 서약서를 받는 것부터 시작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심상정 공동대표도 “야권연대는 지도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공동공약으로 독일식 정당명부비례대표제 제안, 야권 공조 복원도 제안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기구 구성제안과 동시에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공동공약으로 합의하고, 선거결과가 정당지지율을 반영하도록 하는 노력을 야권연대에서부터 실천하자”며 “정당지지도 등을 고려하고 지역 독점을 해소할 합리적인 기준에 입각해 상호 호혜적인 방식으로 합의를 이끌어 야권 단일후보를 내자”고 강조했다.
또 “야권연대기구를 통해 19대 국회에서 즉각 추진할 양당 공동입법과제와 공동 정책 공약부터 우선 합의해 가치 중심 선거연합을 실현하자”고 밝혔다. 통합진보당이 제안한 정책연합 과제는 노동관계법 제·개정, 한미FTA 폐기, 복지확대와 고소득층 증세, 재벌 개혁 등이다.
통합진보당은 주요 현안에 대해 시급한 공조와 연대 복원도 제안했다.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의 최소한의 신뢰 기반은 한미FTA 발효 저지, 교사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 보장, 외환은행 매각 저지, KTX민영화 저지, 소값 폭락 등과 같은 현안에 대한 일관된 공동 대응”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