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차별에 찬성하면서, 차별을 바로잡는 것이 ‘특혜’라고 외치는 예비교사들은 우리 사회가 그동안 해온 교육이 어떤 모습이었는가를 보여주었다. 지금의 예비교사들, 그러니까 나와 같은 사람들이 받아온 교육이라는 것은 비정규직은 “노력이 부족하고 능력이 모자라서” 차별받는 게 당연하다고 말하는 교육이었다. 예비교사들은 경쟁은 당연한 것이고,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배웠으며, 경쟁에서 승리하지 않고 권리를 요구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한 것이라고 배워왔다. 이런 과정 속에서 우리 안에는 차별과 경쟁이 제1 가치로 내면화되었고, ‘예비교사’라는 이름을 달고 착취의 구조를 재생산하는 데 앞장서게 되는 비극이 벌어졌다.
[출처: 참세상 자료사진] |
하지만 다른 시선을 보내는 예비교사들도 있었다. 20개가 넘는 전국 사범대학 학생회에서는 ‘우리는 경쟁이 아닌 상생을 가르치고 싶습니다’라는 이름으로, 국가의 잘못된 정책이 기간제 교사를 양산해왔으며, 기간제 교사의 문제제기에 대한 대안은 정부가 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지금 예비교사들과 기간제 교사들의 싸움을 부추기고 있는 것은 정부라고 지적하며, 더 높은 질의 교육을 위해 정규직 교원을 확충하라고 요구했다. 전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생회장으로서 나 또한 이에 함께했다.
나에게 있어서 기간제 교사의 정규직화는, 잘못된 교육을 바꿀 수 있는 첫 시작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불평등은 실제로 반교육적이며, 차별과 경쟁의 이데올로기를 강화한다. 아무리 수업시간에 “차별은 나쁜 것이고 우리는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고 말한다고 해도 “우리 반 선생님은 비정규직이고, 옆반 선생님은 정규직이래”라고 말할 수 있는 학교에서 도대체 교육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무릇 교육이라는 것은 단순히 말뿐 아니라 실천에서 드러날 때 피어나는 법이다. 우리는 비정규직 교사가 차별받는 학교에서 평등을 배울 수 없다. 이런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은 차별과 경쟁의 논리로 황폐화된 내면을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기간제 교사 정규직화는 나의 미래가 걸린 일이기도 하다. 실제로 예비교사와 기간제 교사는 하나다. 예비교사 중 20% 정도는 사립학교에 가서 기간제 교사가 되거나, 임용고시에 떨어져서 공립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로 몇 년간 일하다가 다시 임용고시 준비를 하는 경우도 많다. 당연하게도, 예비교사들의 미래가 기간제 교사인 것은 그들의 능력이 나빠서도, 노력이 부족해서도 아니라 차별의 구조가 공고하기 때문이다. 예비교사가 모두 곧바로 정규직 교원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많은 예비교사들의 미래가 차별받고 착취당하는 비정규직 교원인데도 이 현실은 자꾸 가려진다고 생각한다. 기간제 교사 정규직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나의 미래는 어쩌면 쪼개기 계약 등으로 인해 내가 원하는 교육을 온전히 실현하기 어렵고, 동일 노동을 하면서도 과다한 업무를 해야 하고 호봉에서 차별을 받는 기간제 교사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우리가 발 딛고 선 여기에서 차별이 아닌 평등을 교육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비정규직이 되지 않을 권리를 위하여 나는 기간제 교원 노조 설립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 않고, 투쟁의 길을 택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너무 반가운 결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