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지난 16일 ‘2020년 민주노총 제5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성폭력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 행위를 지속하는 노동자연대와의 연대를 전면 중단한다”고 결정했다.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는 “노동자연대의 성폭력 2차 가해행위와 개개인에 대한 인권침해가 반성폭력 운동사회와 성평등을 염원하는 공동체에서 용인할 수 있는 선을 넘었다고 판단하고, 더 이상 어떠한 연대도 가능하지 않음을 확인했다”라며 이번 연대 중단의 이유를 밝혔다.
이어 노동자연대에 “민주노총의 결정사항을 수용하고 연대의 회복을 위해 피해자와 조력자에게 사과하고 지난 잘못을 반성할 기회로 삼을 것”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6월 30일까지 노동자연대가 속한 연대사업의 조직과 개인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민주노총소속 가맹조직에 관련 내용을 안내하는 과정을 거쳐 7월1일부터 노동자연대와의 모든 연대사업을 전면 중단하게 된다.
앞서 2017년 민주노총은 노동자연대에 성폭력 2차 가해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며 여성노동권, 반성폭력, 성평등 의제에 한하여 부분적인 연대파기를 결정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엔 노동자연대에 공문을 보내 성폭력 사건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아울러 조력자들에 대한 비방과 괴롭힘에 대해서도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노동자연대가 이러한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서 민주노총은 연대사업 전면 중단을 결정하게 됐다.
‘대학 내 성폭력 사건 피해자 A’씨는 “혼자 싸웠다면 이런 결과를 얻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함께 싸우고 지지해주신 분들께 감사하다”고 민주노총의 결정을 반겼다.
‘J성폭력 사건 피해자 J’씨도 “어젯밤 그 소식을 듣고 가슴이 벅차서 잠을 한숨도 못 잤다”라며 “민주노총 중집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은 이러한 흐름이 대세고 거대한 파도라 더 이상 거스를 수 없게 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굉장히 상징적인 일이 아닌가 싶다”라고 밝혔다.
J씨는 “다른 성폭력 피해자들 역시 자기의 목소리를 찾을 수 있길 바란다”라며 “가해 조직을 도려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운동 사회 전반의 분위기와 조류를 새롭게 만들어 가는데 함께 하겠다”라고도 말했다.
민주노총 여성위원회는 17일 논평에서 노동자연대 연대 사업 중단 결정에 대해 “노동운동과 페미니즘운동, 반성폭력 운동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재차 확인하는 것이다. 그동안 민주노총여성위원회를 비롯한 조직 안팎의 반성폭력 운동세력에게 맡겨진 책무를 민주노총을 비롯한 모든 운동진영이 함께 떠안고 당사자로 나서겠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민주노총 여성위원회는 ‘시민사회 반성폭력 운동의 재구성을 위한 회의’를 기획 중이다. 성폭력 사건 해결에 집중해온 것을 넘어 조직문화를 새롭게 바꾸는 반성폭력 운동이 필요하다는 고민에 따라 4월 말 연대 단체들을 모아 논의를 시작한다. 민주노총은 이들 단체와 함께 성평등 문화 확대를 위한 TF구성과 운동사회의 성평등을 향한 공동의 실천 지침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A씨는 “운동사회 전반의 성폭력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소속이 없는 상태로 싸우는 피해자에게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