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목회자정의평화위원회, 가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를 비롯한 종교단체들은 27일 기륭전자 구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륭전자 최동렬 회장은 즉각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6년이 넘도록 억압에 맞서 조금도 굴하지 않는 기륭전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 멈출 수 없어 뜨거운 마음으로 기도한다”며 “최동렬 회장의 조건 없는 즉각적인 교섭을 촉구”했다.
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 김성윤 목사는 “최동렬 회장만 결단하고 풀면 문제가 풀리는 상황인데 이유를 알 수 없는 마지막 고집, 마음을 풀지 않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며 “그 마음을 온 사회에 전하는데 종교단체들이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천주교남자수도자장상협의회 정의평화환경위원회 김정대 신부는 기륭 노동자들을 군자라고 일컬었다.
“기륭전자 노동자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6년 동안 싸운 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에 도전하는 군자와 같은 사람이다. 사회를 위해 자신의 시간과 노력, 모든 것을 희생하며 싸우는 기륭전자 비정규여성 노동자들 때문에 혼탁한 우리 사회 조금이라도 맑아지고, 온기를 나눌 수 없는 벽을 가진 사회가 조금 더 따뜻해졌다. 기륭전자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돼서 우리 사회가 비정규직에 대해 새롭게 성찰하고 제도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앞서 26일에는 문화예술인들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 |
▲ 26일, 문화예술인들이 농성장을 방문해 포크레인을 장식하고 있다. |
문화연대, 민족미술인협회, 한국작가회의 등 10여 개의 문회예술인 단체들은 “노동자들을 사지로 내모는 기륭전자와 최동렬 회장의 행태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며 “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문화예술인들은 또 “죽음의 포크레인을 멈추고 6년째 계속된 노동자들의 눈물을 멎게 하기 위한 투쟁에 힘을 보태겠다”고 결의했다.
한편 27일 1시부터는 김종민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위원장이 기륭문제 해결을 위한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김 위원장은 “아침에 집을 나서는데 초등학교 2학년인 아들이 ‘단식투정’하지 말고 해결에 나서라고 하더라. 죽지 않을 만큼 하는 것으로 의견을 나눴다”며 “하루빨리 교섭이 이루어져서 투쟁 끝에 밥숟가락 얹었다는 소리를 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