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월요일 날 배속에 6개월 된 아기랑 저를 위해 갔다 오겠다며 나갔는데 돌아오질 않아요. 자기는 걱정하지 말라고 하지만, 제가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서 너무 답답해요. 언론은 며칠 보도하다 말거나, 사측 편만 들고... 그래서 여자들도 나서서 이번 일을 돕고 싶어서 나왔어요. 그 사람을 믿고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건, 저희가 하는 일이 정당하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거예요.”
공장 점거투쟁 중인 조합원의 아내 이나리(가명) 씨는 끝내 눈물을 흘렸다. 이나리 씨 이외에도 한 곳에 모인 조합원 가족들은 눈물을 흘렸다. 그동안 털어놓지 못했던 걱정들을 얘기하며 서로 공감하기도 했다. 같은 절박함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모여든 20여 명의 가족들은 18일, 가족대책위(가대위)를 꾸렸다.
![]() |
가대위의 구성은 비정규직지회 사이트에 올라온 글이 발단이 됐다. 16일 사이트에 게재된 ‘낮 12시 정문 앞에 비정규직 가족 모입시다’라는 글은 17일 세 명의 가족을 모이도록 했고, 이들을 시작으로 20여 명의 가족들이 모여 가대위가 만들어졌다.
가대위 첫 번째 모임에 참석한 윤성은(가명)씨는 “힘이 돼 주고 싶어 나왔으며, 가대위에서 결정된 내용에 최대한 방향을 맞춰갈 것”이라며 의지를 보였다. 4공장 조합원의 아내 강지연(가명) 씨는 “남편은 잘 지낸다고 말하지만 인터넷에 뜨는 사진들을 보면 너무 마음이 아프다. 진작부터 나오고 싶었는데, 앞으로라도 힘이 돼 주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3공장 조합원의 아내 진재연(가명)씨는 “신랑이 맞아서 다쳤지만, 나한테 아프다는 소리조차 못하고 있다. 우리 열심히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4공장 조합원의 모친인 김수정(가명)씨 역시 자리에 참석해 “같이 용기를 내자”며 힘을 북돋았다.
![]() |
자발적으로 모여든 만큼, 가대위에서의 역할과 계획은 일사천리로 논의됐다. 가대위의 대표는 2공장 조합원의 아내인 최은미 씨가 맡았다. 은미 씨는 지난 16일 지회 싸이트에 글을 올린 당사자로, 17일 모였던 3명의 가족 중 한 명이다. 역시나 두 아이를 데리고 온 은미씨는 “저는 아무것도 모르지만, 오직 신랑을 도와야겠다는 생각뿐이다. 여러분이 도와주시면 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부대표와 총무, 선전담당의 역할도 정해졌다. 각자의 역할이 정해진 가대위 구성원들은 앞으로의 활동 방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유모차 부대 결성부터 천막 농성까지 다양한 얘기가 오고갔다.
우선 첫 모임인 만큼 매일 저녁 6시 가대위 회의를 진행하고, 7시에 열리는 촛불문화제에 가족대책위의 이름을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가대위간의 소통 공간인 인터넷 카페도 개설하고, 후원금 모금에 필요한 계좌도 개설하기로 했다. 이 밖의 가대위 차원의 독자적 움직임과 계획에 대해서는 이후 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조이영자 민주노총 울산본부 총무국장은 “과연 홈페이지만 보고 몇 분이나 올까 걱정했는데 이렇게 많은 가족들이 모였다는 것은 굉장히 고무적인 일”이라며 “함께 붙어 다니며 가대위차원의 독자적인 활동들을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울산노동뉴스=참세상 합동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