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파업, 시·도 비판 여론 잇따라

사업주 면허권 취소 등 강력히 사업주를 압박하는 게 필요해

김완주 전북도지사와 송하진 전주시장이 지난 22일 버스파업에 따른 입장에 대해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전북 시민사회단체는 성명서를 내고 “생색내기 발표가 아닌 적극적인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진보신당․민주노동당 전북도당은 23일 오전에 기자회견을 열어 “버스파업 장기화, 도지사를 비롯한 기득권 세력의 유착관계가 원인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버스파업해결과 완전공영제실현을 위한 전북시민사회단체 대책위’(버스시민대책위)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북도와 전주시의 문제 해결 의지나 노력을 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노사갈등만 부추기는 내용만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일이다”면서 “도지사와 시장이 70일 넘게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을 생각할 때 매우 안일한 대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진보정당은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버스노동자가 680명에 달하는 조건에서 대체인력투입 없이 운행률 80%를 어떤 방식으로 이룰 수 있단 말인가”라며 “단지 버스파업 기간에 보조금을 줄 명분을 만들어주기 위한 얄팍한 술수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버스노동자의 파업이 80여일이 되도록 파업현장에 얼굴 한번 내밀지 않는 도지사, 시장은 도대체 누구의 도지사고 시장인가? 3개월이 다 되는 동안 월급 한 푼 받지 못하고 길거리에서 억울함을 호소하는 버스노동자, 엄동설한에 버스를 기다리며 발을 동동 굴러야하는 교통약자는 전북도민이 아닌가?”고 반문했다.

또 “도지사는 이제라도 대체인력투입에서 해답을 찾을 것이 아니라 면허권 취소 등의 권한을 행사해 버스 사태를 책임지고 조속히 해결하라”고 촉구했으며, "도지사와 시장이 사업주편에 서서 버스파업 장기화를 계속 조장한다면 전북도민의 힘을 모아 주민소환제 등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엄중히 심판하겠다"고 밝혔다.

버스시민대책위는 버스파업 해결과 완전공영제 실현을 위한 수요촛불집회를 23일 저녁 7시 시청에서 연다. 촛불집회는 이후에도 버스파업이 해결될 때까지 매주 수요일마다 열릴 예정이다. (기사제휴=참소리)
태그

버스파업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경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노동자

    완정공영제가 실시되면 군읍면리 마을에 버스업자들의 수익의 이해 때문에 버스가 운행이 일정하지 않은곳도 사실은 서민들의 발이되는 계기가 이번이다.
    반드시 전북도민 전주시민들이 이제는 버스업주들의 버스보조금을 어용노조와 야합하여 가로채는 일이 없어야 하고 투명한 시의 예산이 집행되는 계기라면
    민주버스노동자들과 전북도민들은 한 목소리를 낼수밖에 없다.

    간접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에서 도민을 위한 정치가 시의회나 시정이 제대로 못하면 도민들이 직접민주주의로 해결방법이다.

    도민들 시민들의 요구가 버스운영과 체계의 완전공영제라면 아직도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 버스업주들 그리고 노조불인정과 교섭불가의 사업주는 즉시 버스보조금을 회수하고 도민시민단체들이 사업허가권를 재심하거나 돌려받아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