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 경비대 심야테러 김석진 후유증 심각

"피해자에 1000만원 배상" 법원 판결 영향 주목

지난 2009년 1월 벌어진 현대중공업 경비대 심야테러 피해자인 진보신당 당원들에게 배상금 1000여만원을 지급하라는 법원 판결이 나오자 당시 진보신당 당원들과 함께 집중테러를 당해 지금까지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미포조선 김석진 현장노동자투쟁위원회 의장에 대한 사태 해결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석진 의장은 현대중공업 경비들에 의해 집중 테러를 당한 뒤 2년4개월 동안 상해 통원치료 1년, 정신과 치료 1년6개월 등 병원치료를 받아왔다.

심야테러 후유증 뿐만 아니라 현대미포조선의 감시, 고소고발, 회사와 노동조합의 중징계, 법원의 업무방해금지가처분결정과 벌금형, 계속되는 경찰과 검찰조사 등으로 김석진 의장은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계속되는 병원의 약물치료는 또다른 후유증까지 유발하고 있다.

서울과 울산을 오가며 남편과 아버지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일인시위를 벌여온 김 의장의 아내와 두 딸 또한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김석진 의장과 가족의 고통이 계속되면서 민주노총과 진보정당이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나서고 있다.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사회당 등 울산 진보3당은 지난 4월28일 공동성명을 내고 현대미포조선이 법원에 낸 집행문부여신청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현대미포조선은 김석진 의장이 회사를 비방하는 취지의 일인시위와 언론 인터뷰, 기고 등을 통해 위반행위 1회당 각 10만원씩을 미포조선 회사에 지급토록 한 법원의 업무방해금지가처분결정을 어겼다며 300만원을 회사에 지급하라는 집행문부여신청서를 울산지방법원에 냈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도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대주주인 정몽준 한나라당 의원에게 항의서한을 보내 현대중공업 경비대 심야테러 사태 해결과 협약서 이행을 촉구한 바 있고, 국제금속노련의 항의서한 등 정몽준 의원에 대한 국제적 압박도 강화할 계획이다.

진보정당과 민주노총의 연대와 함께 테러 피해를 입은 진보신당 당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이번 법원 판결이 김석진 의장에 대한 심야테러 현안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제휴=울산노동뉴스)

태그

현대중 , 김석진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노동뉴스 편집국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